편집
13,127
번
잔글 (→위험 인자) |
잔글 (→역학)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내과적 망막질환 중에서 [[나이관련 황반변성]] (AMD), [[당뇨 망막병증]] (DR), [[망막 분지정맥 폐쇄]] (BRVO) 에 이어 네 번째로 후극부에서 자주 발생하는 질환으로, 주로 건강한 남자에게서 경도에서 중등도의 시력 저하를 일으킨다. <span style='color:blue;'>남자</span>가 여자보다 6배 정도 많고<ref>Ross A et al. Review and update of CSC. ''Curr Opin Ophthalmol''. 2011 May;22(3):166-73. [https://pubmed.ncbi.nlm.nih.gov/21427570/ 연결]</ref>, 대개 <span style='color:blue;'>30~50대까지의 청, 장년층</span>에서 많이 발생한다. 처음 진단 시 양안 동시 발병률은 4% 정도이지만 양안을 침범하는 경우는 40%까지도 높게 보고되며, 주로 만성 환자에서 양안성이 많은 경향이 있다. | 내과적 망막질환 중에서 [[나이관련 황반변성]] (AMD), [[당뇨 망막병증]] (DR), [[망막 분지정맥 폐쇄]] (BRVO) 에 이어 네 번째로 후극부에서 자주 발생하는 질환으로, 주로 건강한 남자에게서 경도에서 중등도의 시력 저하를 일으킨다. <span style='color:blue;'>남자</span>가 여자보다 6배 정도 많고<ref>Ross A et al. Review and update of CSC. ''Curr Opin Ophthalmol''. 2011 May;22(3):166-73. [https://pubmed.ncbi.nlm.nih.gov/21427570/ 연결]</ref>, 대개 <span style='color:blue;'>30~50대까지의 청, 장년층</span>에서 많이 발생한다. 처음 진단 시 양안 동시 발병률은 4% 정도이지만 양안을 침범하는 경우는 40%까지도 높게 보고되며, 주로 만성 환자에서 양안성이 많은 경향이 있다. | ||
인종적으로도 차이가 있어 흑인에서는 매우 드물고 <span style='color:blue;'>백인, 동양인 등</span>에 빈번하게 발생하며, 미국 거주 흑인들에서는 드물게 나타나지만 발생 시 심한 양상을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이는 스트레스에 대한 과도한 교감신경성 반응을 보이는 성향 때문으로 보인다. 가족력이나 계절적으로 봄에 많이 발생한다는 보고도 있으나 확실하지는 않다. | 인종적으로도 차이가 있어 흑인에서는 매우 드물고 <span style='color:blue;'>백인, 동양인 등</span>에 빈번하게 발생하며, 미국 거주 흑인들에서는 드물게 나타나지만 발생 시 심한 양상을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ref>Spaide RF et al. CSC in younger and older adults. ''Ophthalmology''. 1996 Dec;103(12):2070-9; discussion 2079-80. [https://pubmed.ncbi.nlm.nih.gov/9003341/ 연결]</ref><ref>Guyer DR et al. CSC. In: Albert DM, Jakobiec FA, eds. Principles and practice of ophthalmology. Vol. 2. Philadelphia: WB Saunders, 1994;818-25</ref><ref>Desai UR et al. CSC in African Americans. ''J Natl Med Assoc''. 2003 Jul;95(7):553-9. [https://pubmed.ncbi.nlm.nih.gov/12911253/ 연결]</ref>. 이는 스트레스에 대한 과도한 교감신경성 반응을 보이는 성향 때문으로 보인다<ref>Fukunaga K. [Central chorioretinopathy with disharmony of the autonomous nerve system]. ''Nippon Ganka Gakkai Zasshi''. 1969 Sep;73(9):1468-77. Japanese. [https://pubmed.ncbi.nlm.nih.gov/5390583/ 연결]</ref>. 가족력이나 계절적으로 봄에 많이 발생한다는 보고도 있으나 확실하지는 않다. | ||
== 병태 생리 == | == 병태 생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