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 장액 맥락망막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418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12월 13일 (금)
잔글
잔글 (→‎역학)
8번째 줄: 8번째 줄:
인종적으로도 차이가 있어 흑인에서는 매우 드물고 <span style='color:blue;'>백인, 동양인 등</span>에 빈번하게 발생하며, 미국 거주 흑인들에서는 드물게 나타나지만 발생 시 심한 양상을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ref name=r6>Spaide RF et al. CSC in younger and older adults. ''Ophthalmology''. 1996 Dec;103(12):2070-9; discussion 2079-80. [https://pubmed.ncbi.nlm.nih.gov/9003341/ 연결]</ref><ref>Guyer DR et al. CSC. In: Albert DM, Jakobiec FA, eds. Principles and practice of ophthalmology. Vol. 2. Philadelphia: WB Saunders, 1994;818-25</ref><ref>Desai UR et al. CSC in African Americans. ''J Natl Med Assoc''. 2003 Jul;95(7):553-9. [https://pubmed.ncbi.nlm.nih.gov/12911253/ 연결]</ref>. 이는 스트레스에 대한 과도한 교감신경성 반응을 보이는 성향 때문으로 보인다<ref>Fukunaga K. [Central chorioretinopathy with disharmony of the autonomous nerve system]. ''Nippon Ganka Gakkai Zasshi''. 1969 Sep;73(9):1468-77. Japanese. [https://pubmed.ncbi.nlm.nih.gov/5390583/ 연결]</ref>. 가족력이나 계절적으로 봄에 많이 발생한다는 보고도 있으나 확실하지는 않다.
인종적으로도 차이가 있어 흑인에서는 매우 드물고 <span style='color:blue;'>백인, 동양인 등</span>에 빈번하게 발생하며, 미국 거주 흑인들에서는 드물게 나타나지만 발생 시 심한 양상을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ref name=r6>Spaide RF et al. CSC in younger and older adults. ''Ophthalmology''. 1996 Dec;103(12):2070-9; discussion 2079-80. [https://pubmed.ncbi.nlm.nih.gov/9003341/ 연결]</ref><ref>Guyer DR et al. CSC. In: Albert DM, Jakobiec FA, eds. Principles and practice of ophthalmology. Vol. 2. Philadelphia: WB Saunders, 1994;818-25</ref><ref>Desai UR et al. CSC in African Americans. ''J Natl Med Assoc''. 2003 Jul;95(7):553-9. [https://pubmed.ncbi.nlm.nih.gov/12911253/ 연결]</ref>. 이는 스트레스에 대한 과도한 교감신경성 반응을 보이는 성향 때문으로 보인다<ref>Fukunaga K. [Central chorioretinopathy with disharmony of the autonomous nerve system]. ''Nippon Ganka Gakkai Zasshi''. 1969 Sep;73(9):1468-77. Japanese. [https://pubmed.ncbi.nlm.nih.gov/5390583/ 연결]</ref>. 가족력이나 계절적으로 봄에 많이 발생한다는 보고도 있으나 확실하지는 않다.


== 병태 생리 ==
== 병인 ==
일차 병소가 맥락막인지 망막 색소상피 이상인지, 또는 국소 병소인지 전반적으로 퍼져 있는 이상인지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최근에는 맥락막의 혈류 이상에 의해서 이 질환이 유발될 것이라고 생각되고 있다<ref>Spaide RF et al. Serous detachment of the retina. ''Retina''. 2003 Dec;23(6):820-46; quiz 895-6. [https://pubmed.ncbi.nlm.nih.gov/14707834/ 연결]</ref>.
일차 병소가 맥락막인지 망막 색소상피 이상인지, 또는 국소 병소인지 전반적으로 퍼져 있는 이상인지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최근에는 맥락막의 혈류 이상에 의해서 이 질환이 유발될 것이라고 생각되고 있다<ref>Spaide RF et al. Serous detachment of the retina. ''Retina''. 2003 Dec;23(6):820-46; quiz 895-6. [https://pubmed.ncbi.nlm.nih.gov/14707834/ 연결]</ref>.


허혈과 염증은 맥락막 내층의 투과성 이상 및 [[망막 색소상피|RPE]]의 박리를 유발하고 박리된 [[망막 색소상피|RPE]]의 미세한 rip(부풀어 오르면서 생긴 연속성의 결손)에 의해 장액 망막박리 부위로 누출이 생긴다.
허혈과 염증은 맥락막 내층의 투과성 이상 및 [[망막 색소상피|RPE]]의 박리를 유발하고 박리된 [[망막 색소상피|RPE]]의 미세한 rip(부풀어 오르면서 생긴 연속성의 결손)에 의해 장액 망막박리 부위로 누출이 생긴다.


허혈부위에서 동맥 충만의 지연과 정맥 울혈로 인해 맥락막 투과성 항진이 초래된다<ref>Prünte C et al. Choroidal capillary and venous congestion in CSC. ''AJO''. 1996 Jan;121(1):26-34. [https://pubmed.ncbi.nlm.nih.gov/8554078/ 연결]</ref>. 그러므로 맥락막은 두꺼워지고 망막하 물질 침착이 유발될 수 있다. [[인도시아닌 그린 혈관조영술|ICGA]]에서 [[형광 안저 혈관조영술|FA]]에서는 나타나지 않던 전반적인 투과성 증가 및 과형광 현상이 관찰되었는데 정상으로 여겨졌던 반대편 눈에서도 관찰되었다.
허혈부위에서 동맥 충만의 지연과 정맥 울혈로 인해 맥락막 투과성 항진이 초래된다<ref>Prünte C et al. Choroidal capillary and venous congestion in CSC. ''AJO''. 1996 Jan;121(1):26-34. [https://pubmed.ncbi.nlm.nih.gov/8554078/ 연결]</ref>. 그러므로 맥락막은 두꺼워지고 망막하 물질 침착이 유발될 수 있다. [[인도시아닌 그린 혈관조영술|ICGA]]에서 [[형광 안저 혈관조영술|FA]]에서는 나타나지 않던 전반적인 투과성 증가 및 과형광 현상이 관찰되었는데 정상으로 여겨졌던 반대편 눈에서도 관찰되었다<ref name=r6 />. Guyer 등<ref>Guyer DR et al. Digital ICG videoangiography of CSC. ''Arch Ophthalmol''. 1994 Aug;112(8):1057-62. [https://pubmed.ncbi.nlm.nih.gov/8053819/ 연결]</ref>은 이 현상을 보고 맥락막의 투과성 증가가 이 질환의 원인이라고 가정하였다. Spaide 등<ref name=r6 />은 주로 만성 질환을 가진 고령 환자에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맥락막 혈류의 자가 조절 기능의 이상이 초기 원인일 가능성이 있다고 하였다.


일반적으로 맥락막 혈관의 비정상적인 투과성 증가와 맥락막의 비후로 인한 망막 색소상피층의 기능 이상으로 인한 망막하액의 발생이 병의 기전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Imamura Y et al. EDI OCT of the choroid in CSC. Retina. 2009 Nov-Dec;29(10):1469-73. [https://pubmed.ncbi.nlm.nih.gov/19898183/ 연결]</ref><ref>Spaide RF et al. ICG videoangiography of older patients with CSC. Retina. 1996;16(3):203-13. [https://pubmed.ncbi.nlm.nih.gov/8789858/ 연결]</ref>.
 
맥락막 모세혈관의 미세 순환 이상에 의해 [[망막 색소상피|RPE]] 하 공간으로의 누출이 증가되는 것도 생각되고 있다. 누출이 증가된 채로 시간이 지나면 [[망막 색소상피|RPE]]의 정상 적인 펌프 기능도 상실되고 그 결과 이 질환이 발생하게 된다. 이런 미세 순환의 부전이 계속되면 질환의 재발과 영구적인 조직 손상을 일으키게 된다.


== 위험 인자 ==
== 위험 인자 ==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