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 장액 맥락망막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502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12월 13일 (금)
잔글
잔글 (→‎병인)
17번째 줄: 17번째 줄:


맥락막 모세혈관의 미세 순환 이상에 의해 [[망막 색소상피|RPE]] 하 공간으로의 누출이 증가되는 것도 생각되고 있다. 누출이 증가된 채로 시간이 지나면 [[망막 색소상피|RPE]]의 정상 적인 펌프 기능도 상실되고 그 결과 이 질환이 발생하게 된다. 이런 미세 순환의 부전이 계속되면 질환의 재발과 영구적인 조직 손상을 일으키게 된다.
맥락막 모세혈관의 미세 순환 이상에 의해 [[망막 색소상피|RPE]] 하 공간으로의 누출이 증가되는 것도 생각되고 있다. 누출이 증가된 채로 시간이 지나면 [[망막 색소상피|RPE]]의 정상 적인 펌프 기능도 상실되고 그 결과 이 질환이 발생하게 된다. 이런 미세 순환의 부전이 계속되면 질환의 재발과 영구적인 조직 손상을 일으키게 된다.
최근 연구에서 알도스테론/염류 코르티코이드 수용체 경로가 이 질환과 관련 있을 가능성이 밝혀졌다. 동물실 험에서 유리체강내 알도스테론 주입이 맥락막의 두께와 혈관의 누출을 증가시키고 망막하액의 발생을 유발시켰다<ref>Zhao M et al. Mineralocorticoid receptor is involved in rat and human ocular chorioretinopathy. ''J Clin Invest''. 2012 Jul;122(7):2672-9. [https://pubmed.ncbi.nlm.nih.gov/22684104/ 연결]</ref>.


== 위험 인자 ==
== 위험 인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