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 장액 맥락망막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8 바이트 제거됨 ,  2024년 12월 14일 (토)
잔글
70번째 줄: 70번째 줄:
급성형인 경우 매우 좋은 시력 예후를 가지고 있어 대부분에서 <span style='color:blue;'>자연 치유</span>된다. 보통 치료 없이도 12주 내에 저절로 호전되지만 시력 회복은 12개월까지 천천히 회복되기도 한다<ref name=r5 /><ref>Aggio FB et al. Clinical factors related to visual outcome in CSC. ''Retina''. 2010 Jul-Aug;30(7):1128-34. [https://pubmed.ncbi.nlm.nih.gov/20616688/ 연결]</ref>. 만성형의 경우 박리 소실 후 약간의 시력 호전과 이후 점진적인 시력 개선을 보이지만 영구적 시력 감퇴를 남기는 경우가 많다<ref>Ficker L et al. Long-term FU of a prospective trial of argon laser photocoagulation in the treatment of CSR. ''BJO''. 1988 Nov;72(11):829-34. [https://pubmed.ncbi.nlm.nih.gov/3061449/ 연결]</ref>.
급성형인 경우 매우 좋은 시력 예후를 가지고 있어 대부분에서 <span style='color:blue;'>자연 치유</span>된다. 보통 치료 없이도 12주 내에 저절로 호전되지만 시력 회복은 12개월까지 천천히 회복되기도 한다<ref name=r5 /><ref>Aggio FB et al. Clinical factors related to visual outcome in CSC. ''Retina''. 2010 Jul-Aug;30(7):1128-34. [https://pubmed.ncbi.nlm.nih.gov/20616688/ 연결]</ref>. 만성형의 경우 박리 소실 후 약간의 시력 호전과 이후 점진적인 시력 개선을 보이지만 영구적 시력 감퇴를 남기는 경우가 많다<ref>Ficker L et al. Long-term FU of a prospective trial of argon laser photocoagulation in the treatment of CSR. ''BJO''. 1988 Nov;72(11):829-34. [https://pubmed.ncbi.nlm.nih.gov/3061449/ 연결]</ref>.


후극부 [[망막 색소상피|RPE]]의 손상이 만성적으로 진행되어 [[맥락막 신생혈관]] (CNV), 중심와부근 [[망막 색소상피|RPE]] 위축, [[낭포 황반변성|CME]], [[망막 색소상피 박리]], 망막하 섬유소 침착, 감각신경망막 박리, [[망막색소 상피|RPE]] 위축 영역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시력이 저하될 위험이 커진다. 또한 중심 시력 저하, 색각 감소, 상대 암점, 소시증, 변시증, 대비감도 저하, 야맹증 등의 시력 장애가 남을 수도 있다.
후극부 [[망막 색소상피|RPE]]의 손상이 만성적으로 진행되어 [[맥락막 신생혈관]] (CNV), 중심와부근 [[망막 색소상피|RPE]] 위축, 낭포 황반변성, [[망막 색소상피 박리]], 망막하 섬유소 침착, 감각신경망막 박리, [[망막색소 상피|RPE]] 위축 영역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시력이 저하될 위험이 커진다. 또한 중심 시력 저하, 색각 감소, 상대 암점, 소시증, 변시증, 대비감도 저하, 야맹증 등의 시력 장애가 남을 수도 있다.


환자의 1/3~1/2에서 재발을 경험하고, 그 중 10%는 3회 이상 재발하며, 재발하는 경우 50%에서 첫 1년 이내에 발생한다.
환자의 1/3~1/2에서 재발을 경험하고, 그 중 10%는 3회 이상 재발하며, 재발하는 경우 50%에서 첫 1년 이내에 발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