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감별 진단) |
잔글 (→감별 진단) |
||
67번째 줄: | 67번째 줄: | ||
* EOG, full field ERG : 이상 소견을 보이지 않는다. | * EOG, full field ERG : 이상 소견을 보이지 않는다. | ||
== 감별 진단 == | == 감별 진단 == | ||
=== [[시신경 유두 오목]] (ODP) === | |||
모든 감각신경망막 박리에서 [[시신경 유두 오목|ODP]]가 동반되어 있는지 반드시 확인해 봐야 한다. 외층 박리와는 연결이 없고, 내층 박리는 소와와 연결되어 있다. [[형광 안저 혈관조영술|FA]] 상, 염료가 누출되는 누출점이 보이지 않고, 황반 박리 부위로 천천히 차오른다. [[빛간섭 단층 촬영|OCT]]상 후극부 황반 박리가 소와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경우 진단에 도움을 준다. | |||
=== 종양 === | |||
[[맥락막 흑색종]], [[맥락막 혈관종]], 악성 종양의 전이, [[맥락막 골종]], 백혈병 침윤 등도 감별해야 한다. 특히, [[맥락막 혈관종]]을 구분하기 위해 초음파 검사와 혈관 조영이 도움이 된다. | |||
=== 기타 === | === 기타 === | ||
[[노른자 모양 황반 이상증|베스트 노른자 모양 이상증]]의 경우 감각신경망막 박리가 나타나 이 질환과 혼동되기도 한다. [[형광 안저 혈관조영술|FA]]상 초기에 황색의 망막하액이 아래쪽 맥락막 모세혈관으로부 터의 형광을 차단하고 후기에는 [[망막 색소상피|RPE]] 결손 부위 를 따라 색소가 점상으로 차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 감별에 도움을 준다. 후극부 망막박리가 있으면서 [[형광 안저 혈관조영술|FA]] 시 누출점이 없으면 주변부 망막 열공을 확인한다. 또한 황반 원공이 없는지도 살펴야 한다. 안구 타박상에 의한 황반부 박리, 공막 돌륨술이나 공기 압박술 후에도 비슷한 소견을 보일 수 있다. | [[노른자 모양 황반 이상증|베스트 노른자 모양 이상증]]의 경우 감각신경망막 박리가 나타나 이 질환과 혼동되기도 한다. [[형광 안저 혈관조영술|FA]]상 초기에 황색의 망막하액이 아래쪽 맥락막 모세혈관으로부 터의 형광을 차단하고 후기에는 [[망막 색소상피|RPE]] 결손 부위 를 따라 색소가 점상으로 차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 감별에 도움을 준다. 후극부 망막박리가 있으면서 [[형광 안저 혈관조영술|FA]] 시 누출점이 없으면 주변부 망막 열공을 확인한다. 또한 황반 원공이 없는지도 살펴야 한다. 안구 타박상에 의한 황반부 박리, 공막 돌륨술이나 공기 압박술 후에도 비슷한 소견을 보일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