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레이저 광응고) |
잔글 (→광역학 치료) |
||
119번째 줄: | 119번째 줄: | ||
* 맥락막 신생 혈관이 존재하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을 경우 | * 맥락막 신생 혈관이 존재하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을 경우 | ||
* 광응고를 시행하지 못하는 경우 | * 광응고를 시행하지 못하는 경우 | ||
ICGA 상 과투과성을 보이는 맥락막 모세혈관에 대해 광역학 치료를 시행하게 된다. 그 결과 혈관의 리모델링을 유발시켜 투과성이 감소되고 국소적인 망막 색소상피의 변성, 맥락막 모세혈관의 허혈, 맥락막 | ICGA 상 과투과성을 보이는 맥락막 모세혈관에 대해 광역학 치료를 시행하게 된다. 그 결과 혈관의 리모델링을 유발시켜 투과성이 감소되고 국소적인 망막 색소상피의 변성, 맥락막 모세혈관의 허혈, [[맥락막 신생혈관|CNV]]의 발생 등의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절반 용량의 verteporfin 주사액을 사용하거나, 50% 짧은 시간의 레이저로 광역학 치료를 시행하는 경향이 있다. | ||
=== 유리체강 내 [[항 혈관 내피 성장 인자]] 주입술 === | === 유리체강 내 [[항 혈관 내피 성장 인자]] 주입술 === | ||
혈관 내피 성장 인자에 대한 항체도 치료에 이용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치료 효과가 있다는 보고도 있는 반면, 대조군과 별 차이 없다는 보고도 있어 아직도 논란의 여지가 있다. 그러므로 항체 주사는 좀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혈관 내피 성장 인자에 대한 항체도 치료에 이용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치료 효과가 있다는 보고도 있는 반면, 대조군과 별 차이 없다는 보고도 있어 아직도 논란의 여지가 있다. 그러므로 항체 주사는 좀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