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 장액 맥락망막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712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12월 14일 (토)
잔글
71번째 줄: 71번째 줄:
=== [[나이관련 황반변성]] (AMD) ===
=== [[나이관련 황반변성]] (AMD) ===
50세 이후 환자의 경우는 [[나이관련 황반변성|AMD]]와 감별하여야 한다. 드루젠이 있으면 삼출성 [[나이관련 황반변성|AMD]]에서 발생한 [[맥락막 신생혈관|CNV]]을 의심해야 한다. [[형광 안저 혈관조영술|FA]] 상에서 경계가 명확하지 않은 미만성의 과형광을 보이는 경우 삼출성 [[나이관련 황반변성|AMD]]과 감별이 어려운데, 이 경우 [[인도시아닌 그린 혈관조영술|ICGA]] 또는 [[빛간섭 단층 혈관조영술|OCTA]]이 도움이 될 수 있다. CSC에서는 초기에 나타나는 다발성의 과형광이 후기에 감소하는 소견을 보이나, 삼출성 [[나이관련 황반변성|AMD]]에서는 염색에 의해 후기까지도 과형광이 지속되는 차이를 보인다.27
50세 이후 환자의 경우는 [[나이관련 황반변성|AMD]]와 감별하여야 한다. 드루젠이 있으면 삼출성 [[나이관련 황반변성|AMD]]에서 발생한 [[맥락막 신생혈관|CNV]]을 의심해야 한다. [[형광 안저 혈관조영술|FA]] 상에서 경계가 명확하지 않은 미만성의 과형광을 보이는 경우 삼출성 [[나이관련 황반변성|AMD]]과 감별이 어려운데, 이 경우 [[인도시아닌 그린 혈관조영술|ICGA]] 또는 [[빛간섭 단층 혈관조영술|OCTA]]이 도움이 될 수 있다. CSC에서는 초기에 나타나는 다발성의 과형광이 후기에 감소하는 소견을 보이나, 삼출성 [[나이관련 황반변성|AMD]]에서는 염색에 의해 후기까지도 과형광이 지속되는 차이를 보인다.27
=== 특발성 [[결절 맥락막 혈관병증|결절 맥락망막 혈관병증]] (PCV) ===
특발성 [[결절 맥락막 혈관병증|PCV]]와의 감별은 [[인도시아닌 그린 혈관조영술|ICGA]]이 중요한데, branching vascular network와 결절이 관찰되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ref>Gemenetzi M et al. CSC : an update on pathogenesis and treatment. ''Eye (Lond)''. 2010 Dec;24(12):1743-56. [https://pubmed.ncbi.nlm.nih.gov/20930852/ 연결]</ref>. [[빛간섭 단층 촬영|OCT]]도 감별에 도움이 되는데, CSC에서는 망막하 공간이 깨끗하지만, 특발성 [[결절 맥락막 혈관병증|PCV]]에서는 망막 색소 박리 경계에 결절이 관찰될 수도 있다.


=== 자가 면역 혈관 질환 ===
=== 자가 면역 혈관 질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