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비 자가 면역 혈관 질환) |
잔글 (→치료) |
||
107번째 줄: | 107번째 줄: | ||
== 치료 == | == 치료 == | ||
대부분에서 저절로 호전되는 경과를 보이기 때문에 특별한 치료 없이 경과 관찰 시 거의 90%에서 20/25 이상의 시력으로 회복되지만, 5%의 경우에서는 심한 시력 손상을 동반하게 되므로 3개월 이상 박리가 지속될 경우 치료가 고려되어야 한다 | 대부분에서 저절로 호전되는 경과를 보이기 때문에 특별한 치료 없이 경과 관찰 시 거의 90%에서 20/25 이상의 시력으로 회복되지만<ref>Klein ML et al. Experience w nontreatment of CSC. Arch Ophthalmol. 1974 Apr;91(4):247-50. [https://pubmed.ncbi.nlm.nih.gov/4621147/ 연결]</ref><ref>Watzke RC et al. Ruby laser photocoagulation therapy of CSR. I. A controlled clinical study. II. Factors affecting prognosis. ''Trans Am Acad Ophthalmol Otolaryngol''. 1974 Mar-Apr;78(2):OP205-11. [https://pubmed.ncbi.nlm.nih.gov/4856872/ 연결]</ref>, 5%의 경우에서는 심한 시력 손상을 동반하게 되므로 3개월 이상 박리가 지속될 경우 치료가 고려되어야 한다<ref name=r4 />. | ||
안정제, 진정제, 수면제 등이 이 질환과 관련된 스트레스를 감소시킨다고 알려져 있지만 그 효과는 확실하지 않다. 비정상적으로 혈중 내 에피네프린 농도가 높은 것과 관련된 부분을 차단하기 위해 베타 차단제 또는 알파 차단제 사용도 제안되었지만 효과를 입증할만한 연구 결과는 아직 많지 않다. [[아세타졸라미드]]가 망막 색소 상피의 펌프 작용을 증가시키고 맥락막 혈류 역학을 변화시킴으로써 망막하액의 흡수를 촉진시킨다고 생각되지만 장기적인 시력 예후나 재발에 대해 좋은 영향을 준다는 증거는 아직 없다. 스테로이드계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는 중지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br /> 스트레스가 이 질환 발생과 관련이 있고, A형 성격과 높은 연관성이 보고되므로 정신 신체 질환으로 생각되어 정신적 생활 상담, 생활 형태의 개선 등이 필요할 수 있다. | |||
=== 스피로놀락톤 (spironolactone) === | === 스피로놀락톤 (spironolactone) === | ||
최근 동물 실험을 이용한 Zhao et al<ref>Zhao M et al. Mineralocorticoid receptor is involved in rat and human ocular chorioretinopathy. J Clin Invest. 2012 Jul;122(7):2672-9. [https://pubmed.ncbi.nlm.nih.gov/22684104/ 연결]</ref>의 연구에서, 저자들은 쥐의 눈에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유리체강 내로 주사하여 광물 코르티코이드 수용체의 활성에 의한 맥락막 혈관의 반응을 확인하고자 하였고, 맥락막 혈관들의 혈관 확장과 유출을 조절하는 경로에 코르티코이드 수용체가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규명되었다. 이를 근거로 스피로놀락톤으로 대표되는 광물코르티코이드 수용체 길항제를 이용한 CSC 치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스피로놀락톤이 망막하액의 감소와 시력개선에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ref>한재용 외, 중심 장액 맥락망막병증 환자에 대한 스피로놀락톤의 치료 효과 및 안전성, JKOS 2020;61(11):1311-1321 [https://www.jkos.org/upload/pdf/jkos-2020-61-11-1311.pdf 연결]</ref>. | 최근 동물 실험을 이용한 Zhao et al<ref>Zhao M et al. Mineralocorticoid receptor is involved in rat and human ocular chorioretinopathy. J Clin Invest. 2012 Jul;122(7):2672-9. [https://pubmed.ncbi.nlm.nih.gov/22684104/ 연결]</ref>의 연구에서, 저자들은 쥐의 눈에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유리체강 내로 주사하여 광물 코르티코이드 수용체의 활성에 의한 맥락막 혈관의 반응을 확인하고자 하였고, 맥락막 혈관들의 혈관 확장과 유출을 조절하는 경로에 코르티코이드 수용체가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규명되었다. 이를 근거로 스피로놀락톤으로 대표되는 광물코르티코이드 수용체 길항제를 이용한 CSC 치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스피로놀락톤이 망막하액의 감소와 시력개선에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ref>한재용 외, 중심 장액 맥락망막병증 환자에 대한 스피로놀락톤의 치료 효과 및 안전성, JKOS 2020;61(11):1311-1321 [https://www.jkos.org/upload/pdf/jkos-2020-61-11-1311.pdf 연결]</re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