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 장액 맥락망막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 바이트 제거됨 ,  2024년 12월 14일 (토)
잔글
132번째 줄: 132번째 줄:
ICGA 상 과투과성을 보이는 맥락막 모세혈관에 대해 광역학 치료를 시행하게 된다. 그 결과 혈관의 리모델링을 유발시켜 투과성이 감소되고 국소적인 망막 색소상피의 변성, 맥락막 모세혈관의 허혈, [[맥락막 신생혈관|CNV]]의 발생 등의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절반 용량의 verteporfin 주사액을 사용하거나, 50% 짧은 시간의 레이저로 광역학 치료를 시행하는 경향이 있다.
ICGA 상 과투과성을 보이는 맥락막 모세혈관에 대해 광역학 치료를 시행하게 된다. 그 결과 혈관의 리모델링을 유발시켜 투과성이 감소되고 국소적인 망막 색소상피의 변성, 맥락막 모세혈관의 허혈, [[맥락막 신생혈관|CNV]]의 발생 등의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절반 용량의 verteporfin 주사액을 사용하거나, 50% 짧은 시간의 레이저로 광역학 치료를 시행하는 경향이 있다.


=== 유리체강 내 [[항 혈관 내피 성장 인자]] 주입술 ===
=== 유리체강 내 [[항 혈관내피 성장인자]] 주입술 ===
혈관 내피 성장 인자에 대한 항체도 치료에 이용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치료 효과가 있다는 보고도 있는 반면, 대조군과 별 차이 없다는 보고도 있어 아직도 논란의 여지가 있다. 그러므로 항체 주사는 좀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혈관 내피 성장 인자에 대한 항체도 치료에 이용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치료 효과가 있다는 보고도 있는 반면, 대조군과 별 차이 없다는 보고도 있어 아직도 논란의 여지가 있다. 그러므로 항체 주사는 좀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기타 ===
=== 기타 ===
[[경동공 온열 요법]]<ref>Sharma T et al. Transpupillary Thermotherapy for Juxtafoveal Leak in CSC. ''Ophthalmic Surg Lasers Imaging''. 2010 Mar 9:1-3. [https://pubmed.ncbi.nlm.nih.gov/20337348/ 연결]</ref>, 또는 항코르티코스테로이드<ref>Singh RP et al. Oral eplerenone for the management of chronic CSC. ''Int J Ophthalmol''. 2015 Apr 18;8(2):310-4. [https://pubmed.ncbi.nlm.nih.gov/25938046/ 연결]</ref>, [[탄산 탈수효소 억제제]], 아스피린, 항-H.pylori 균 치료를 사용한 치료에 대한 보고도 있으나 아직 치료 효과는 명확하지 않다.
[[경동공 온열 요법]]<ref>Sharma T et al. Transpupillary Thermotherapy for Juxtafoveal Leak in CSC. ''Ophthalmic Surg Lasers Imaging''. 2010 Mar 9:1-3. [https://pubmed.ncbi.nlm.nih.gov/20337348/ 연결]</ref>, 또는 항코르티코스테로이드<ref>Singh RP et al. Oral eplerenone for the management of chronic CSC. ''Int J Ophthalmol''. 2015 Apr 18;8(2):310-4. [https://pubmed.ncbi.nlm.nih.gov/25938046/ 연결]</ref>, [[탄산 탈수효소 억제제]], 아스피린, 항-H.pylori 균 치료를 사용한 치료에 대한 보고도 있으나 아직 치료 효과는 명확하지 않다.
{{참고}}
{{참고}}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