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 장액 맥락망막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393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12월 14일 (토)
잔글
130번째 줄: 130번째 줄:
* 맥락막 신생 혈관이 존재하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을 경우
* 맥락막 신생 혈관이 존재하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을 경우
* 광응고를 시행하지 못하는 경우
* 광응고를 시행하지 못하는 경우
등에서 도움이 된다. [[인도시아닌 그린 혈관조영술|ICGA]] 상 과투과성을 보이는 맥락막 모세혈관에 대해 광역학 치료를 시행하게 된다. 그 결과 혈관의 리모델링을 유발시켜 투과성이 감소되고 국소적인 망막 색소상피의 누출을 종식시키게 된다. 일반적으로 TAP 프로토콜에 의해 치료해 왔으나, 최근에는 망막 색소상피의 변성, 맥락막 모세혈관의 허혈, [[맥락막 신생혈관|CNV]]의 발생 등의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절반 용량의 verteporfin 주사액을 사용하거나, 50% 짧은 시간의 레이저로 광역학 치료를 시행하는 경향이 있다.
등에서 도움이 된다. [[인도시아닌 그린 혈관조영술|ICGA]] 상 과투과성을 보이는 맥락막 모세혈관에 대해 광역학 치료를 시행하게 된다. 그 결과 혈관의 리모델링을 유발시켜 투과성이 감소되고 국소적인 망막 색소상피의 누출을 종식시키게 된다. 일반적으로 TAP 프로토콜에 의해 치료해 왔으나, 최근에는 망막 색소상피의 변성, 맥락막 모세혈관의 허혈, [[맥락막 신생혈관|CNV]]의 발생 등의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절반 용량의 verteporfin 주사액을 사용하거나<ref>Shin JY et al. Comparison of efficacy and safety btw half- and full-fluence PDT for chronic CSC. ''Retina''. 2011 Jan;31(1):119-26. [https://pubmed.ncbi.nlm.nih.gov/20890242/ 연결]</ref><ref>Bae SH et al. A randomized pilot study of low-fluence PDT vs intravitreal ranibizumab for chronic CSC. ''AJO''. 2011 Nov;152(5):784-92.e2. [https://pubmed.ncbi.nlm.nih.gov/21742303/ 연결]</ref>, 50% 짧은 시간의 레이저로 광역학 치료를 시행하는 경향이 있다.


=== 유리체강 내 [[항 혈관내피 성장인자]] 주입술 ===
=== 유리체강 내 [[항 혈관내피 성장인자]] 주입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