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광역학 치료) |
잔글 (→레이저 광응고) |
||
123번째 줄: | 123번째 줄: | ||
최근 1주일 이내 촬영한 FA에서 확인된 누출점에 대해 광응고한다. 중심와 무혈관 부위나 유두-황반 다발 내의 치료는 크립톤 적색광이 권유된다. 광원 크기는 누출점보다 약간 크게 200㎛ 정도 사용하며, 낮은 강도 (100~200mW) 에서 시작하여 긴 시간 (0.1~0.2초) 동안 몇 회 정도 조사한다. 레이저 치료 후 보통 2주 정도에 망막하액이 흡수되지만 망막 하액의 농도가 높을 경우 6주까지 걸리기도 한다. 시력 회복은 망막하액 흡수 기간의 2배 정도 시간이 소요된다. 광응고술 후에 합병증으로 암점이 지속될 수 있으므로 미리 환자에게 설명해야 한다. 이차적인 [[맥락막 신생혈관|CNV]]가 생기기도 하는데 레이저 강도가 과도할수록 잘 생긴다. | 최근 1주일 이내 촬영한 FA에서 확인된 누출점에 대해 광응고한다. 중심와 무혈관 부위나 유두-황반 다발 내의 치료는 크립톤 적색광이 권유된다. 광원 크기는 누출점보다 약간 크게 200㎛ 정도 사용하며, 낮은 강도 (100~200mW) 에서 시작하여 긴 시간 (0.1~0.2초) 동안 몇 회 정도 조사한다. 레이저 치료 후 보통 2주 정도에 망막하액이 흡수되지만 망막 하액의 농도가 높을 경우 6주까지 걸리기도 한다. 시력 회복은 망막하액 흡수 기간의 2배 정도 시간이 소요된다. 광응고술 후에 합병증으로 암점이 지속될 수 있으므로 미리 환자에게 설명해야 한다. 이차적인 [[맥락막 신생혈관|CNV]]가 생기기도 하는데 레이저 강도가 과도할수록 잘 생긴다. | ||
기존의 레이저 치료를 대신하여 마이크로펄스 다이오드 레이저 치료가 시도되고 있다<ref>Sivaprasad S et al. Micropulsed diode laser therapy : evolution and clinical applications. ''Surv Ophthalmol''. 2010 Nov-Dec;55(6):516-30. [https://pubmed.ncbi.nlm.nih.gov/20850854/ 연결]</ref><ref>Gupta B et al. Micropulse diode laser photocoagulation for CSC. ''Clin Exp Ophthalmol''. 2009 Nov;37(8):801-5. [https://pubmed.ncbi.nlm.nih.gov/19878226/ 연결]</ref><ref>Ricci F et al. ICG enhanced subthreshold diode-laser micropulse photocoagulation treatment of chronic CSC.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009 May;247(5):597-607. [https://pubmed.ncbi.nlm.nih.gov/19089442/ 연결]</ref>. 기존의 레이저는 주변 조직의 열화상으로 인해 조사반의 크기보다 최종적인 응고반의 크기가 커지는 단점이 있는 반면에 마이크로펄스 다이오드 레이저는 주변으로의 열확산이 일어나기 전에 조직이 냉각되는 시간을 두어 불필요한 조직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의 레이저로 치료하기 어려운 중심와 밑 병변에 대해 치료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광역학 치료]]의 단점인 맥락막 허혈, [[망막 색소상피|RPE]] 위축과 같은 합병증을 피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효과 및 유용성에 대해 논란이 있으며 프로토콜이 아직 정립되어 있지 않은 것은 한계로 지적되고 있다. | |||
=== [[광역학 치료]] === | === [[광역학 치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