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 장액 맥락망막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705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12월 14일 (토)
잔글
잔글 (→‎안저)
잔글 (→‎안저)
38번째 줄: 38번째 줄:
=== 안저 ===
=== 안저 ===
<span style='color:blue;'>후극부에 경계가 분명하고 투명한 장액성 융기</span>가 관찰되며, 정상 중심와 반사의 소실, 망막 색소상피 위로 비쳐진 망막혈관 그림자 간격보다 실제 혈관 간격이 넓어져 있는 소견이나, 장액성 융기 경계 부위에서 혈관의 꺾임이 관찰되는 소견, 융기된 망막 가장자리에서 빛의 산란이 증가된다. 망막의 엽황소가 보다 잘 비쳐서 중심와 부위가 더욱 황색으로 보이기도 한다<ref>Ie D et al. Subretinal exudative deposits in CSC. ''BJO''. 1993 Jun;77(6):349-53. [https://pubmed.ncbi.nlm.nih.gov/8318481/ 연결]</ref>. 발생한 시기가 오래된 경우나 만성 시기에는 감각 신경망막과 망막 색소상피 사이에 과립성 침착물이 있는 경우가 많다<ref>Maruko I et al. Subretinal dot-like precipitates and yellow material in CSC. ''Retina''. 2011 Apr;31(4):759-65. [https://pubmed.ncbi.nlm.nih.gov/21052035/ 연결]</ref>.
<span style='color:blue;'>후극부에 경계가 분명하고 투명한 장액성 융기</span>가 관찰되며, 정상 중심와 반사의 소실, 망막 색소상피 위로 비쳐진 망막혈관 그림자 간격보다 실제 혈관 간격이 넓어져 있는 소견이나, 장액성 융기 경계 부위에서 혈관의 꺾임이 관찰되는 소견, 융기된 망막 가장자리에서 빛의 산란이 증가된다. 망막의 엽황소가 보다 잘 비쳐서 중심와 부위가 더욱 황색으로 보이기도 한다<ref>Ie D et al. Subretinal exudative deposits in CSC. ''BJO''. 1993 Jun;77(6):349-53. [https://pubmed.ncbi.nlm.nih.gov/8318481/ 연결]</ref>. 발생한 시기가 오래된 경우나 만성 시기에는 감각 신경망막과 망막 색소상피 사이에 과립성 침착물이 있는 경우가 많다<ref>Maruko I et al. Subretinal dot-like precipitates and yellow material in CSC. ''Retina''. 2011 Apr;31(4):759-65. [https://pubmed.ncbi.nlm.nih.gov/21052035/ 연결]</ref>.
감각신경망막 박리 주변에 작은 [[망막 색소상피 박리]]가 동반되기도 하는데, 대개 크기가 시신경 유두 직경의 1/4을 넘지 않는다. 최근 빛간섭단층촬영검사에서 많은 경우에 망 막색소상피박리가 동반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망막 색소상피박리는 경계가 분명하고 융기되어 있어 둘레에 빛반사를 나타내며 아래의 맥락막 구조가 자세히 보이지 않고 노란색, 회색 또는 오렌지빛으로 보여 감각신경망막 박리와 구별될 수 있다. 오래되거나 재발한 경우에는 색소 의 이동이 나 위축 또는 응집으로 저색소 부위를 보이기도 한다.
=== [[안저 자가 형광|AF]] ===
=== [[안저 자가 형광|AF]] ===
급성기에는 자가 형광이 망막 박리 부위에서 망막하액에 가려 감소하여 나타나지만, 만성기에는 망막 박리르 보이는 위치에서 자가 형광이 증가되어 보이고, 누출점에서는 감소되어 나타나 전체적으로 증가된 부위와 감소된 부위가 혼재하여 나타난다.
급성기에는 자가 형광이 망막 박리 부위에서 망막하액에 가려 감소하여 나타나지만, 만성기에는 망막 박리르 보이는 위치에서 자가 형광이 증가되어 보이고, 누출점에서는 감소되어 나타나 전체적으로 증가된 부위와 감소된 부위가 혼재하여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