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 장액 맥락망막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5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12월 14일 (토)
잔글
잔글 (→‎안저)
잔글 (→‎안저)
43번째 줄: 43번째 줄:
망막하액은 대부분 맑은 편이지만,과립이나 부유물에 의해 혼탁하게 보이기도 한다<ref>Gass JDM. Stereoscopic atlas of macular diseases : diagnosis and treatment, 4th ed. St. Louis: Mosby; 1997:52-70.</ref>. 부유물의 경우 대부분 섬유소에 의해 유발되고 섬유소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혼탁이 심해지면서 일부는 덩어리로 응집하기도 한다<ref name=r32 />. 그 덩어리 내부나 가장자리에 어두운 반점은 [[망막 색소상피 박리|RPED]]로 [[망막 색소상피|RPE]] 누출을 일으키는 부위이다. 이 섬유소 덩어리들은 저절로 녹아 없어지는 경우도 있고, 섬유성 반흔을 형성하여 이차적인 신생혈관의 발생이나 [[망막 색소상피|RPE]] 열상 등을 일으켜 영구적 시력 상실을 유발할 수도 있다<ref name=r32 /><ref>Schatz H et al. Subretinal fibrosis in CSC. ''Ophthalmology''. 1995 Jul;102(7):1077-88. [https://pubmed.ncbi.nlm.nih.gov/9121756/ 연결]</ref>. 이런 섬유성 삼출물은 질환이 만성이거나 자주 재발하는 경우, 임신, 전신 스테로이드 사용<ref>Hooymans JM. Fibrotic scar formation in CSC developed during systemic treatment w corticosteroids.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1998 Nov;236(11):876-9. [https://pubmed.ncbi.nlm.nih.gov/9825265/ 연결]</ref>, 장기 이식, 당뇨, 남성 등에서 잘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망막하의 물질들이 사라질 경우 영구적인 [[망막 색소상피|RPE]] 색소저하를 남겨 [[형광 안저 혈관조영술|FA]] 시에 과형광의 창문 비침으로 보일 수 있다. 작은 과립형 침착물들은 망막박리 기간이 짧은 것을 의미하므로 예후가 좋은 편이다. [[나이관련 황반변성]] (AMD) 이나 특발성 [[결절 맥락막 혈관병증]] (PCV) 에서 자주 보이는 망막하 지질 침착도 나타날 수 있다<ref>Yannuzzi LA et al. Peripheral RD and RPE atrophic tracts secondary to central serous pigment epitheliopathy. ''Ophthalmology''. 1984 Dec;91(12):1554-72. [https://pubmed.ncbi.nlm.nih.gov/6084221/ 연결]</ref>.
망막하액은 대부분 맑은 편이지만,과립이나 부유물에 의해 혼탁하게 보이기도 한다<ref>Gass JDM. Stereoscopic atlas of macular diseases : diagnosis and treatment, 4th ed. St. Louis: Mosby; 1997:52-70.</ref>. 부유물의 경우 대부분 섬유소에 의해 유발되고 섬유소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혼탁이 심해지면서 일부는 덩어리로 응집하기도 한다<ref name=r32 />. 그 덩어리 내부나 가장자리에 어두운 반점은 [[망막 색소상피 박리|RPED]]로 [[망막 색소상피|RPE]] 누출을 일으키는 부위이다. 이 섬유소 덩어리들은 저절로 녹아 없어지는 경우도 있고, 섬유성 반흔을 형성하여 이차적인 신생혈관의 발생이나 [[망막 색소상피|RPE]] 열상 등을 일으켜 영구적 시력 상실을 유발할 수도 있다<ref name=r32 /><ref>Schatz H et al. Subretinal fibrosis in CSC. ''Ophthalmology''. 1995 Jul;102(7):1077-88. [https://pubmed.ncbi.nlm.nih.gov/9121756/ 연결]</ref>. 이런 섬유성 삼출물은 질환이 만성이거나 자주 재발하는 경우, 임신, 전신 스테로이드 사용<ref>Hooymans JM. Fibrotic scar formation in CSC developed during systemic treatment w corticosteroids.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1998 Nov;236(11):876-9. [https://pubmed.ncbi.nlm.nih.gov/9825265/ 연결]</ref>, 장기 이식, 당뇨, 남성 등에서 잘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망막하의 물질들이 사라질 경우 영구적인 [[망막 색소상피|RPE]] 색소저하를 남겨 [[형광 안저 혈관조영술|FA]] 시에 과형광의 창문 비침으로 보일 수 있다. 작은 과립형 침착물들은 망막박리 기간이 짧은 것을 의미하므로 예후가 좋은 편이다. [[나이관련 황반변성]] (AMD) 이나 특발성 [[결절 맥락막 혈관병증]] (PCV) 에서 자주 보이는 망막하 지질 침착도 나타날 수 있다<ref>Yannuzzi LA et al. Peripheral RD and RPE atrophic tracts secondary to central serous pigment epitheliopathy. ''Ophthalmology''. 1984 Dec;91(12):1554-72. [https://pubmed.ncbi.nlm.nih.gov/6084221/ 연결]</ref>.


망막하액이 중력에 의해 아래로 흘러 눈물, 아령,술잔, 플라스크 모양의 감각신경망막 박리를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49-52 만성적인 망막 박리가 있는 경우에는 아래층의 [[망막 색소상피|RPE]]가 위축되어 후극부와 아래쪽 망막박리 부위 를 연결하는 위축된 길이 생기는데, 이는 [[형광 안저 혈관조영술|FA]]에서 더욱 뚜렷하게 관찰할 수 있다. 이런 위축된 길이 발견될 경우 이전에 CSC가 있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낭포 황반부종]] (CME), 망의 낭포성 변화, [[망막 색소상피|RPE]] 위축에 따른 맥락막 모세혈관 위축, [[맥락막 신생혈관]] 등의 소견01 동반되어 나타날 수 있다.51-55 심한 이상 소견은 잦은 재발과 관련되어 있고 영구적인 중심 시력 상실, 심한 상부 시야 결손을 초래한다.
망막하액이 중력에 의해 아래로 흘러 눈물, 아령,술잔, 플라스크 모양의 감각신경망막 박리를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49-52 만성적인 망막 박리가 있는 경우에는 아래층의 [[망막 색소상피|RPE]]가 위축되어 후극부와 아래쪽 망막박리 부위 를 연결하는 위축된 길이 생기는데, 이는 [[형광 안저 혈관조영술|FA]]에서 더욱 뚜렷하게 관찰할 수 있다. 이런 위축된 길이 발견될 경우 이전에 CSC가 있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낭포 황반부종]] (CME), 망의 낭포성 변화, [[망막 색소상피|RPE]] 위축에 따른 맥락막 모세혈관 위축, [[맥락막 신생혈관|CNV]] 등의 소견이 동반되어 나타날 수 있다.51-55 심한 이상 소견은 잦은 재발과 관련되어 있고 영구적인 중심 시력 상실, 심한 상부 시야 결손을 초래한다.


=== [[안저 자가 형광|AF]] ===
=== [[안저 자가 형광|A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