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 중심정맥 폐쇄: 두 판 사이의 차이

1,269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12월 15일 (일)
잔글
잔글 (→‎분류)
잔글 (→‎분류)
15번째 줄: 15번째 줄:
* 관류 (비허혈성, 더 많음) : FA에서 10 DD 미만의 망막 모세혈관 비관류 영역을 보이는 경우로 일반적으로 망막 출혈 정도가 경하고 초기 및 최종 시력이 좋은 편이다.
* 관류 (비허혈성, 더 많음) : FA에서 10 DD 미만의 망막 모세혈관 비관류 영역을 보이는 경우로 일반적으로 망막 출혈 정도가 경하고 초기 및 최종 시력이 좋은 편이다.
* 비관류 (허혈성, 20~33%) : 10 DD 이상의 비관류 영역을 보이는 경우로 관류 CRVO보다 훨씬 더 심한 망막 출혈과 황반 및 유두 부종을 동반한다.
* 비관류 (허혈성, 20~33%) : 10 DD 이상의 비관류 영역을 보이는 경우로 관류 CRVO보다 훨씬 더 심한 망막 출혈과 황반 및 유두 부종을 동반한다.
* 부정형 : 두꺼운 망막 출혈로 관류 상태를 정확히 평가할 수 없을 때로, 초진 시력과 RAPD의 존재, 망막 전위도 검사, 골드만 시야계 등이 관류 상태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ref name=r2 /><ref name=r12 /><ref>Hayreh SS et al. Differentiation of ischemic from non-ischemic CRVO during the early acute phase.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1990;228(3):201-17. [https://pubmed.ncbi.nlm.nih.gov/2361592/ 연결]</ref><ref>Hayreh SS, Zimmerman MB. Ocular NV a/w CRVO and hemi-CRVO. ''Retina''. 2012 Sep;32(8):1553-65. [https://pubmed.ncbi.nlm.nih.gov/22495331/ 연결]</ref>.
=== 부정형 ===
두꺼운 망막 출혈로 관류 상태를 정확히 평가할 수 없을 때로, 초진 시력과 RAPD의 존재, 망막 전위도 검사, 골드만 시야계 등이 관류 상태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ref name=r2 /><ref name=r12 /><ref>Hayreh SS et al. Differentiation of ischemic from non-ischemic CRVO during the early acute phase.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1990;228(3):201-17. [https://pubmed.ncbi.nlm.nih.gov/2361592/ 연결]</ref><ref>Hayreh SS, Zimmerman MB. Ocular NV a/w CRVO and hemi-CRVO. ''Retina''. 2012 Sep;32(8):1553-65. [https://pubmed.ncbi.nlm.nih.gov/22495331/ 연결]</ref>.
 
* 초진 시력 : 망막 비관류 영역과 높은 연관성을 보이는 데 관류형에서 비관류형보다 더 좋은 초진 및 최종 시력을 보였다.
* [[상대 구심 동공 운동 장애|구심 동공운동 장애]] 검사는 허혈성 폐쇄를 구별하는 민감도와 특이도가 90%인 매우 유용한 검사로 CRVO 초기부터 나타나며 매체 혼탁으로 안저 검사가 어려울 때도 검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관류형에서 비관류형으로 이행하는 초기에도 이상이 나타난다. 하지만 반대안이 정상이어야 유용하며 관류형이라도 황반 부종이 광범위한 경우 중심 시야 암점이 커서 이상이 나타날 수 있다.
* [[망막 전위도]] 검사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 는데 광순응 및 암순응 상태의 빠 진폭, 플리커(flicker) 진폭이 비관류형에서 관류형에 비해 매우 작게 나타난다.16 특히 비관류형에서 b파 및 a파의 비인 b/a 값이 1 이하로 줄어들어 1 이상인 관류형과 감별에 유용하다.
여러 검사 중에서 [[구심 동공운동 장애]]와 [[망막 전위도]] 검사가 신뢰도가 높고 둘을 합치면 97%의 높은 정확도로 관류 상태를 구분할 수 있다.


관류형 환자의 1/3은 경과 관찰 시 3년 이내에 비관류형으로 전환되는데 그 위험 인자로는 나쁜 초진 시력, 심한 황반부종, 시간에 따른 망막 내 출혈 증가를 들 수 있다. 부정형 환자의 83%는 궁극적으로 비관류형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18 한편 비관류 CRVO가 발생하더라도 모세혈관의 폐쇄는 적어도 3~4주가 지나서 생기므로 초기 검사에서는 모세혈관 관류가 정상일 수 있다. 또한 모세혈관 비관류는 주변부 망막에서 먼저 일어 나고 나중에 후극부로 진행하므로 고식적인 30도 안저카메라로 촬영한 FA에서 이상이 발견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초광범위 FA가 주변부를 포함한 전체 망막의 관류 상태를 정확히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된다.
관류형 환자의 1/3은 경과 관찰 시 3년 이내에 비관류형으로 전환되는데 그 위험 인자로는 나쁜 초진 시력, 심한 황반부종, 시간에 따른 망막 내 출혈 증가를 들 수 있다. 부정형 환자의 83%는 궁극적으로 비관류형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18 한편 비관류 CRVO가 발생하더라도 모세혈관의 폐쇄는 적어도 3~4주가 지나서 생기므로 초기 검사에서는 모세혈관 관류가 정상일 수 있다. 또한 모세혈관 비관류는 주변부 망막에서 먼저 일어 나고 나중에 후극부로 진행하므로 고식적인 30도 안저카메라로 촬영한 FA에서 이상이 발견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초광범위 FA가 주변부를 포함한 전체 망막의 관류 상태를 정확히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