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눈 검사) |
잔글 (→눈 검사) |
||
41번째 줄: | 41번째 줄: | ||
초진 시 CRVO의 유병 기간과 황반 부종과 망막 허혈의 정도에 대한 세심한 평가가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데 중요하다. 먼저 심혈관 질환들과 당뇨, 혈전증 또는 과응고 상태에 대한 환자 및 가족 병력을 확인해야 한다. | 초진 시 CRVO의 유병 기간과 황반 부종과 망막 허혈의 정도에 대한 세심한 평가가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데 중요하다. 먼저 심혈관 질환들과 당뇨, 혈전증 또는 과응고 상태에 대한 환자 및 가족 병력을 확인해야 한다. | ||
=== 눈 검사 === | === 눈 검사 === | ||
양안 모두 시행하며 시력과 동공 반응 검사, 안압 검사를 포함한다. [[홍채 신생혈관|NVI]]을 감지하기 위해 무산동 세극등 검사를 시행해야 하며,[[전방각 신생혈관]] (NVA) 은 최대 12%의 눈에 | 양안 모두 시행하며 시력과 동공 반응 검사, 안압 검사를 포함한다. [[홍채 신생혈관|NVI]]을 감지하기 위해 무산동 세극등 검사를 시행해야 하며,[[전방각 신생혈관]] (NVA) 은 최대 12%의 눈에 [[홍채 신생혈관|NVI]] 없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무산동 전방각경 검사는 [[전방각 신생혈관|NVA]]의 존재 또는 주변부 홍채앞 유착에서 폐쇄각 녹내장의 증거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 필요하다.13 | ||
=== 안저 === | |||
안저 검사는 [[안허혈 증후군]] (OIS) 과 관련된 망막 출혈로부터 CRVO를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 [[안허혈 증후군|OIS]]에서 출혈은 주로 이측 중간 주변부에 국한된다<ref>Kearns TP. Differential diagnosis of CRVO. ''Ophthalmology''. 1983 May;90(5):475-80. [https://pubmed.ncbi.nlm.nih.gov/6877779/ 연결]</ref>. | |||
=== [[빛간섭 단층 촬영|OCT]] === | |||
[[빛간섭 단층 촬영|OCT]]는 황반 부종의 진단과 치료 후 변화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데 유용하다. 또한 망막내액의 분포 양상, 망막 내 고반사점 동반 여부, 허혈에 따른 망막내 특정 층의 손상 및 시세포층의 손상 정도는 치료 반응 및 시력 예후를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ref>Scott IU et al; SCORE Study Investigator Group. SCORE Study report 1 : baseline associations btw CRT and VA in patients w RVO. ''Ophthalmology''. 2009 Mar;116(3):504-12. [https://pubmed.ncbi.nlm.nih.gov/19167078/ 연결]</ref>. | |||
== 경과 == | == 경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