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치료) |
잔글 (→FA) |
||
47번째 줄: | 47번째 줄: | ||
[[빛간섭 단층 촬영|OCT]]는 황반 부종의 진단과 치료 후 변화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데 유용하다. 또한 망막내액의 분포 양상, 망막 내 고반사점 동반 여부, 허혈에 따른 망막내 특정 층의 손상 및 시세포층의 손상 정도는 치료 반응 및 시력 예후를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ref>Scott IU et al; SCORE Study Investigator Group. SCORE Study report 1 : baseline associations btw CRT and VA in patients w RVO. ''Ophthalmology''. 2009 Mar;116(3):504-12. [https://pubmed.ncbi.nlm.nih.gov/19167078/ 연결]</ref>. | [[빛간섭 단층 촬영|OCT]]는 황반 부종의 진단과 치료 후 변화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데 유용하다. 또한 망막내액의 분포 양상, 망막 내 고반사점 동반 여부, 허혈에 따른 망막내 특정 층의 손상 및 시세포층의 손상 정도는 치료 반응 및 시력 예후를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ref>Scott IU et al; SCORE Study Investigator Group. SCORE Study report 1 : baseline associations btw CRT and VA in patients w RVO. ''Ophthalmology''. 2009 Mar;116(3):504-12. [https://pubmed.ncbi.nlm.nih.gov/19167078/ 연결]</ref>. | ||
=== [[형광 안저 혈관조영술|FA]] === | === [[형광 안저 혈관조영술|FA]] === | ||
망막 관류 상태를 파악하는 데 중요하며 추후 합병증 발생 위험을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준다. 동맥 기는 정상이거나 약간 지연을 보이는 반면 동정맥 순환 시간은 상당한 지연을 보이는데 20초 이상 지연되거나 CVOS에서 정의한 비관류형 폐쇄를 보이는 경우 [[홍채 신생혈관|NVI]]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ref>A RCT of early panretinal photocoagulation for ischemic CRVO. The CVOS Group N report. ''Ophthalmology''. 1995 Oct;102(10):1434-44. [https://pubmed.ncbi.nlm.nih.gov/9097789/ 연결]</ref>. | 망막 관류 상태를 파악하는 데 중요하며 추후 합병증 발생 위험을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준다. 동맥 기는 정상이거나 약간 지연을 보이는 반면 동정맥 순환 시간은 상당한 지연을 보이는데 20초 이상 지연되거나 CVOS에서 정의한 비관류형 폐쇄를 보이는 경우 [[홍채 신생혈관|NVI]]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ref name=r29>A RCT of early panretinal photocoagulation for ischemic CRVO. The CVOS Group N report. ''Ophthalmology''. 1995 Oct;102(10):1434-44. [https://pubmed.ncbi.nlm.nih.gov/9097789/ 연결]</ref>. | ||
=== [[빛간섭 단층 혈관조영술|OCTA]] === | === [[빛간섭 단층 혈관조영술|OCTA]] === | ||
최근에 활용이 증가하고 있는데 조 영제 없이 모세혈관 비관류와 혈관 손상, 미세동맥류 등 정맥 폐쇄와 관련된 후극부의 미세 혈관 변화를 망막 층별로 자세히 평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시야가 좁고 누출을 감지할 수 없으며 다양한 허상 (artifact) 이 존재하는 제한점이 있다<ref>Tsai G et al. OCTA in Eyes with RVO. ''J Ophthalmic Vis Res''. 2018 Jul-Sep;13(3):315-332. [https://pubmed.ncbi.nlm.nih.gov/30090189/ 연결]</ref>. | 최근에 활용이 증가하고 있는데 조 영제 없이 모세혈관 비관류와 혈관 손상, 미세동맥류 등 정맥 폐쇄와 관련된 후극부의 미세 혈관 변화를 망막 층별로 자세히 평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시야가 좁고 누출을 감지할 수 없으며 다양한 허상 (artifact) 이 존재하는 제한점이 있다<ref>Tsai G et al. OCTA in Eyes with RVO. ''J Ophthalmic Vis Res''. 2018 Jul-Sep;13(3):315-332. [https://pubmed.ncbi.nlm.nih.gov/30090189/ 연결]</re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