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 중심정맥 폐쇄: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658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12월 16일 (월)
잔글
66번째 줄: 66번째 줄:
고혈압 및 당뇨와 같은 전신 혈관 위험 인자의 확인 및 치료가 CRVO 환자에서 중요하다. 아스피린, 헤파린, 와파린 등 전신 항응고제의 사용은 자연 경과에 비해 우월한 결과를 입증한 바가 없다<ref>Mruthyunjaya P et al. CRVO in patients treated w long-term warfarin sodium (Coumadin) for anticoagulation. ''Retina''. 2006 Mar;26(3):285-91. [https://pubmed.ncbi.nlm.nih.gov/16508428/ 연결]</ref>. 치료 농도를 유지하고 있는 와파린 복용 환자에서 CRVO가 발생한 경우가 보고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항응고제의 사용은 전신 혈관 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안구 외 전신의 혈전 발생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전신적 혈액 희석<ref>Glacet-Bernard A et al. Hemodilution therapy using automated erythrocytapheresis in CRVO : results of a multicenter randomized controlled study.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011 Apr;249(4):505-12. [https://pubmed.ncbi.nlm.nih.gov/20953877/ 연결]</ref>이나 펜톡시필린 (pentoxifylline)<ref>Park CH et al. Effect of oral pentoxifylline on CME a/w CRVO. ''Retina''. 2007 Oct;27(8):1020-5. [https://pubmed.ncbi.nlm.nih.gov/18040238/ 연결]</ref> 등의 혈액 점성 저하제의 사용이 시력 호전이나 황반 부종의 감소에 도움이 되고 비관류 CRVO로의 전환을 감소시킨다는 보고가 있다.
고혈압 및 당뇨와 같은 전신 혈관 위험 인자의 확인 및 치료가 CRVO 환자에서 중요하다. 아스피린, 헤파린, 와파린 등 전신 항응고제의 사용은 자연 경과에 비해 우월한 결과를 입증한 바가 없다<ref>Mruthyunjaya P et al. CRVO in patients treated w long-term warfarin sodium (Coumadin) for anticoagulation. ''Retina''. 2006 Mar;26(3):285-91. [https://pubmed.ncbi.nlm.nih.gov/16508428/ 연결]</ref>. 치료 농도를 유지하고 있는 와파린 복용 환자에서 CRVO가 발생한 경우가 보고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항응고제의 사용은 전신 혈관 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안구 외 전신의 혈전 발생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전신적 혈액 희석<ref>Glacet-Bernard A et al. Hemodilution therapy using automated erythrocytapheresis in CRVO : results of a multicenter randomized controlled study.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011 Apr;249(4):505-12. [https://pubmed.ncbi.nlm.nih.gov/20953877/ 연결]</ref>이나 펜톡시필린 (pentoxifylline)<ref>Park CH et al. Effect of oral pentoxifylline on CME a/w CRVO. ''Retina''. 2007 Oct;27(8):1020-5. [https://pubmed.ncbi.nlm.nih.gov/18040238/ 연결]</ref> 등의 혈액 점성 저하제의 사용이 시력 호전이나 황반 부종의 감소에 도움이 되고 비관류 CRVO로의 전환을 감소시킨다는 보고가 있다.
=== 대체 치료 ===
=== 대체 치료 ===
* 맥락막-망막 정맥 문합 : 관류 CRVO 환자의 비측 망막에서 망막과 맥락막 혈액 순환 사이의 문합 (chorioretinal anastomosis)을 아르곤이나 Nd:YAG 레이저 또는 외과적 경망막 정맥 천자술 (transretinal venipuncture technique) 로 인위적으로 만들어 망막 정맥으로부터 정체된 혈액을 맥락막 혈관으로 순환시켜 치료하는 방법으로 일부 시력 호전을 보였으나 잦은 합병증 발생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51-53.
* 맥락막-망막 정맥 문합 : 관류 CRVO 환자의 비측 망막에서 망막과 맥락막 혈액 순환 사이의 문합 (chorioretinal anastomosis) 을 아르곤이나 Nd:YAG 레이저<ref>McAllister IL et al. Laser-induced chorioretinal venous anastomosis for nonischemic CRVO : evaluation of the complications and their RFs. ''AJO''. 1998 Aug;126(2):219-29. [https://pubmed.ncbi.nlm.nih.gov/9727516/ 연결]</ref><ref>McAllister IL et al. The Central Retinal Vein Bypass Study : a trial of laser-induced chorioretinal venous anastomosis for CRVO. ''Ophthalmology''. 2010 May;117(5):954-65. [https://pubmed.ncbi.nlm.nih.gov/20163872/ 연결]</ref> 또는 외과적 경망막 정맥 천자술 (transretinal venipuncture technique)<ref>Fekrat S et al. Chorioretinal venous anastomosis for CRVO : transvitreal venipuncture. ''Ophthalmic Surg Lasers''. 1999 Jan;30(1):52-5. [https://pubmed.ncbi.nlm.nih.gov/9923494/ 연결]</ref> 로 인위적으로 만들어 망막 정맥으로부터 정체된 혈액을 맥락막 혈관으로 순환시켜 치료하는 방법으로 일부 시력 호전을 보였으나 잦은 합병증 발생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 조직 플라스미노겐 활성제 (tPA) : 망막 중심정맥 내 혈전에 대한 직접적인 치료로 제안되었다. 유전자 재조합 tPA는 플라스미노겐을 플라스민으로 전환시켜 혈전을 용해시키는 합성 섬유소 용해물질로 혈전의 크기를 줄여 혈관 내 혈전의 이동 또는 폐쇄 정맥의 재관류를 기대할 수 있다. 전신적 투여와 유리체강 내 주사, 망막하 주입,망막혈관 내 주입 (retinal endovascular delivery) 등 여러 가지 경로로 시도되어 왔으나 연구들이 대조군이 없는 연구들이었고 상반되는  
* 조직 플라스미노겐 활성제 (tPA) : 망막 중심정맥 내 혈전에 대한 직접적인 치료로 제안되었다. 유전자 재조합 tPA는 플라스미노겐을 플라스민으로 전환시켜 혈전을 용해시키는 합성 섬유소 용해물질로 혈전의 크기를 줄여 혈관 내 혈전의 이동 또는 폐쇄 정맥의 재관류를 기대할 수 있다. 전신적 투여와 유리체강 내 주사, 망막하 주입,망막혈관 내 주입 (retinal endovascular delivery) 등 여러 가지 경로로 시도되어 왔으나 연구들이 대조군이 없는 연구들이었고 상반되는 결과를 보고하고 있어 효과를 입증하기 어렵다.54-57
결고H 보고하고 있어 효과를 입증하기 어렵다.54-57
 
=== 수술적 치료 ===
=== 수술적 치료 ===
==== 유리체 절제술 ====
==== 유리체 절제술 ====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