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원리)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빛간섭 단층 혈관 조영술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OCTA)'''{{망막}}{{녹내장}} 은 [[빛간섭 단층 촬영]] (OCT) 을 기반으로 하여, 혈류의 흐름을 영상화하는 비교적 최근에 개발된 진단 기술이다<ref name=r3>Kim DY et al. In vivo volumetric imaging of human retinal circulation w phase-variance OCT. ''Biomed Opt Express''. 2011 Jun 1;2(6):1504-13. [https://pubmed.ncbi.nlm.nih.gov/21698014/ 연결]</ref><ref name=r4>Makita S et al. Optical coherence angiography. ''Opt Express''. 2006 Aug 21;14(17):7821-40. [https://pubmed.ncbi.nlm.nih.gov/19529151/ 연결]</ref><ref name=r5>Spaide RF et al. OCT angiography. ''Prog Retin Eye Res''. 2018 May;64:1-55. [https://pubmed.ncbi.nlm.nih.gov/29229445/ 연결]</ref><ref name=r6>Jia Y et al. Split-spectrum amplitude-decorrelation angiography w OCT. ''Opt Express''. 2012 Feb 13;20(4):4710-25. [https://pubmed.ncbi.nlm.nih.gov/22418228/ 연결]</ref>. 이는 기존에 혈관을 영상화하기 위한 [[형광 안저 혈관조영술]] (FA) 과 비교하였을 때, 조영제를 전신적으로 주입하지 않아도 혈류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비침습적으로 혈관 또는 혈류를 영상화할 수 있는 표준 검사법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ref name=r3 /><ref name=r4 /><ref name=r5 /><ref name=r6 />. | '''빛간섭 단층 혈관 조영술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OCTA)'''{{망막}}{{녹내장}} 은 [[빛간섭 단층 촬영]] (OCT) 을 기반으로 하여, 혈류의 흐름을 영상화하는 비교적 최근에 개발된 진단 기술이다<ref name=r3>Kim DY et al. In vivo volumetric imaging of human retinal circulation w phase-variance OCT. ''Biomed Opt Express''. 2011 Jun 1;2(6):1504-13. [https://pubmed.ncbi.nlm.nih.gov/21698014/ 연결]</ref><ref name=r4>Makita S et al. Optical coherence angiography. ''Opt Express''. 2006 Aug 21;14(17):7821-40. [https://pubmed.ncbi.nlm.nih.gov/19529151/ 연결]</ref><ref name=r5>Spaide RF et al. OCT angiography. ''Prog Retin Eye Res''. 2018 May;64:1-55. [https://pubmed.ncbi.nlm.nih.gov/29229445/ 연결]</ref><ref name=r6>Jia Y et al. Split-spectrum amplitude-decorrelation angiography w OCT. ''Opt Express''. 2012 Feb 13;20(4):4710-25. [https://pubmed.ncbi.nlm.nih.gov/22418228/ 연결]</ref>. 이는 기존에 혈관을 영상화하기 위한 [[형광 안저 혈관조영술]] (FA) 과 비교하였을 때, 조영제를 전신적으로 주입하지 않아도 혈류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비침습적으로 혈관 또는 혈류를 영상화할 수 있는 표준 검사법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ref name=r3 /><ref name=r4 /><ref name=r5 /><ref name=r6 />. | ||
== 원리 == | == 원리 == | ||
같은 | OCTA는 [[빛간섭 단층 촬영|OCT]]를 이용하여 같은 위치에서 반복적으로 촬영한 단면 (B-scan) 영상을 이용한다<ref name=r3 /><ref name=r4 /><ref name=r5 /><ref name=r6 />. 이러한 단면 영상에서 각 픽셀별로 신호를 분석하는데, 이 중 혈류, 즉 적혈구의 움직임이 있는 곳은 시간에 따른 반사도의 변화가 관찰되고, 혈류가 없는 정적인 조직은 시간에 따른 반사도 변화가 없는 것을 이용해, 각 위치, 촬영 단면으로부터 획득되 는 신호를 구분하여, 이렇게 얻어진 각 단면의 신호들을 모아서 시간에 따른 변화가 있는 부분을 영상화한다<ref name=r3 /><ref name=r4 /><ref name=r5 /><ref name=r6 />. [[빛간섭 단층 촬영|OCT]]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이러한 OCTA의 발달은 [[빛간섭 단층 촬영|OCT]] 기술의 발달과 함께 하였는데, 최근 빠른 속도로 촬영이 가능한 스펙트럼 영역 (spectral domain), 파장 가변 광원 (swept source) 기반 [[빛간섭 단층 촬영|OCT]]은 이러한 OCTA의 개발을 가능하게 하였다. | ||
== 질환별 소견 == | == 질환별 소견 == | ||
=== [[당뇨 망막병증]] (DR) === | === [[당뇨 망막병증]] (D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