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광 안저 혈관조영술: 두 판 사이의 차이

595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12월 23일 (월)
잔글
 
9번째 줄: 9번째 줄:


최근의 안저카메라 장비는 필름 카메라 대신 디지털카메라를 장착하여 영상을 기록한다. cSLO도 디지털 장치와 개인 컴퓨터를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하고, 기록한다. 이제는 디지털 영상 시스템으로 고해상도의 유효한 영상을 얻을 수 있으며, 검사 결과를 바로 분석할 수 있어 신속한 진단과 치료도 가능하게 되었다.
최근의 안저카메라 장비는 필름 카메라 대신 디지털카메라를 장착하여 영상을 기록한다. cSLO도 디지털 장치와 개인 컴퓨터를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하고, 기록한다. 이제는 디지털 영상 시스템으로 고해상도의 유효한 영상을 얻을 수 있으며, 검사 결과를 바로 분석할 수 있어 신속한 진단과 치료도 가능하게 되었다.
== 장점 ==
혈관을 관찰함과 동시에 형광 물질 ([[플루레신]]) 누출, 고임 등을 관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혈관 질환이나 염증성 질환의 진단이나 경과를 관찰함에 있어 유용하다. 또한 초기 촬영 시 얻어지는 영상에서는 무혈관 부위를 잘 관찰할 수 있다.
== 단점 ==
형광 물질을 전신 주입함과 관련된 부작용의 발생 가능성이 있고, 드물지만 쇼크, 사망과 같은 치명적인 경우도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런 이유로 반복하여 검사하기에는 부담이 있다.
== 조영제의 부작용 ==
== 조영제의 부작용 ==
금기사항은 임신초기 3개월, 과거 플루레신 쇼크 및 여타 주사제의 부작용 경험이 있는 경우 등이다. 신장 기능이 나쁜 경우는 천천히 주사하거나, 주사량을 줄이고, 사전에 내과와 협의할 수 있다. 투석 환자는 투석 전날 또는 직전 검사한다. 과민 반응은 주사 후 1~2분 이내에 구역질, 구토, 피부 발진, 어지러움 등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ref>Lipson BK et al. Complications of IV fluorescein injections. ''Int Ophthalmol Clin''. 1989 Fall;29(3):200-5. [https://pubmed.ncbi.nlm.nih.gov/2526795/ 연결]</ref>, 이때 주사를 2~3분 멈추는 것이 증상 경감에 도움이 된다. 가려움증은 대개 주사 후 10~15분에 나타나는데 수시간 후에는 사라지지만 항히스타민제가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 검사에 대한 심리적인 불안감으로도 유발될 수 있으므로 미리 피검자를 안심시킨다. 드물지만 과민성 쇼크 (anaphylaxis) 가 생길 수 있고, 기관지연축 (bronchospasm) 등의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는데, 대부분 주사 직후 나타나므로 주의 깊게 관찰하며, 근처에 항상 기도를 확보할 수 있는 기구와 산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응급함을 준비한다. 간혹 주사 도중 팔 혈관의 파열로 색소가 누출된 경우는 통증 관리를 잘 하고 피부 괴사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한다.
금기사항은 임신초기 3개월, 과거 플루레신 쇼크 및 여타 주사제의 부작용 경험이 있는 경우 등이다. 신장 기능이 나쁜 경우는 천천히 주사하거나, 주사량을 줄이고, 사전에 내과와 협의할 수 있다. 투석 환자는 투석 전날 또는 직전 검사한다. 과민 반응은 주사 후 1~2분 이내에 구역질, 구토, 피부 발진, 어지러움 등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ref>Lipson BK et al. Complications of IV fluorescein injections. ''Int Ophthalmol Clin''. 1989 Fall;29(3):200-5. [https://pubmed.ncbi.nlm.nih.gov/2526795/ 연결]</ref>, 이때 주사를 2~3분 멈추는 것이 증상 경감에 도움이 된다. 가려움증은 대개 주사 후 10~15분에 나타나는데 수시간 후에는 사라지지만 항히스타민제가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 검사에 대한 심리적인 불안감으로도 유발될 수 있으므로 미리 피검자를 안심시킨다. 드물지만 과민성 쇼크 (anaphylaxis) 가 생길 수 있고, 기관지연축 (bronchospasm) 등의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는데, 대부분 주사 직후 나타나므로 주의 깊게 관찰하며, 근처에 항상 기도를 확보할 수 있는 기구와 산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응급함을 준비한다. 간혹 주사 도중 팔 혈관의 파열로 색소가 누출된 경우는 통증 관리를 잘 하고 피부 괴사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