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간섭 단층 혈관조영술: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12월 23일 (월)
잔글
22번째 줄: 22번째 줄:
그 외에도 망막 혹은 맥락막의 구조의 변화에 따른 [[빛간섭 단층 촬영|OCT]] 상 구획을 나누는 과정에서의 오류가 발생하여 해당 위치의 혈류가 아님에도 해당 부위에 마치 있는 것처럼 반영이 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망막 혹은 맥락막의 구조의 변화에 따른 [[빛간섭 단층 촬영|OCT]] 상 구획을 나누는 과정에서의 오류가 발생하여 해당 위치의 혈류가 아님에도 해당 부위에 마치 있는 것처럼 반영이 될 수도 있다.


현재, 다양한 기기들이 출시되고 있는데, 각 기기별 영상을 획득하는 [[빛간섭 단층 촬영|OCT]] 기기마다 촬영에 이용하는 빛의 파장, 촬영 속도, 해상도, 영상 처리 알고리즘 등이 다르기 때문에 같은 대상자를 촬영하더라도 기기마다 영상 구현되는 것이 다르다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ref>박서연 등, 네 가지 OCTA 기기의 망막 혈관 밀도와 망막 FAZ의 크기 분석, ''한안지'' 2020;61(5):482-490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10177 연결]</ref>. 즉, 영상으로부터 획득되는 혈관의 밀도, 무혈관 부위의 넓이 등도 기기별로 측정값이 다르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다른 기기로 찍은 영상들에서 나타나는 정보를 비교할 때는 주의를 할 필요가 있다.
현재, 다양한 기기들이 출시되고 있는데, 각 기기별 영상을 획득하는 [[빛간섭 단층 촬영|OCT]] 기기마다 촬영에 이용하는 빛의 파장, 촬영 속도, 해상도, 영상 처리 알고리즘 등이 다르기 때문에 같은 대상자를 촬영하더라도 기기마다 영상 구현되는 것이 다르다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8<ref>박서연 등, 네 가지 OCTA 기기의 망막 혈관 밀도와 망막 FAZ의 크기 분석, ''한안지'' 2020;61(5):482-490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10177 연결]</ref>. 즉, 영상으로부터 획득되는 혈관의 밀도, 무혈관 부위의 넓이 등도 기기별로 측정값이 다르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다른 기기로 찍은 영상들에서 나타나는 정보를 비교할 때는 주의를 할 필요가 있다.


== 질환별 소견 ==
== 질환별 소견 ==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