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19번째 줄: | 19번째 줄: | ||
* 맥락막 혈관 (choroidal vessel) slab | * 맥락막 혈관 (choroidal vessel) slab | ||
영상으로 구현한다. | 영상으로 구현한다. | ||
=== 혈류 신호, 역상관 신호 (decorrelation signal) === | === 혈류 신호 (flow signal), 역상관 신호 (decorrelation signal) === | ||
반사도에 의해 구현되는 [[빛간섭 단층 촬영|OCT]]와는 달리 OCTA 영상은 혈류 신호로 구성되며, 이러한 혈류 신호는 [[빛간섭 단층 촬영|OCT]] 상에서 측정된 반사도의, 시간에 따른 진폭, 위상, 강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계산한다<ref name=r5 /><ref name=r6 /><ref name=r8>Cole ED et al. The Definition, Rationale, and Effects of Thresholding in OCTA. ''Ophthalmol Retina''. 2017 Sep-Oct;1(5):435-447. [https://pubmed.ncbi.nlm.nih.gov/29034359/ 연결]</ref>. 이러한 시간에 따른 [[빛간섭 단층 촬영|OCT]]의 반사도의 변화를 바탕으로 역상관 신호를 계산하게 되며, 역상관 신호는 0 (변화 없음)에서 1 (최대 변화) 까지로 나타내며, 높은 역상관 신호일수록 높은 혈류 속도를 나타낸다. 하지만 모든 시간에 따른 변화, 즉 속도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은 아니며,민감도 한계 (sensitivity limit) 및 포화 한계 (saturation limit) 에 따른 혈류 흐름의 속도를 감지할 수 있는 범위를 가지고 있어, 검사법으로 측정할 수 있는 최저 속도와 최고 속도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 최저 속도 이하,최고 속도 이상의 경우는 같은 역상관 신호로 나타나며, 더 늦은, 더 빠른 속도를 구분해내기 어렵다<ref name=r5 /><ref name=r6 /><ref name=r8 />. | 반사도에 의해 구현되는 [[빛간섭 단층 촬영|OCT]]와는 달리 OCTA 영상은 혈류 신호로 구성되며, 이러한 혈류 신호는 [[빛간섭 단층 촬영|OCT]] 상에서 측정된 반사도의, 시간에 따른 진폭, 위상, 강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계산한다<ref name=r5 /><ref name=r6 /><ref name=r8>Cole ED et al. The Definition, Rationale, and Effects of Thresholding in OCTA. ''Ophthalmol Retina''. 2017 Sep-Oct;1(5):435-447. [https://pubmed.ncbi.nlm.nih.gov/29034359/ 연결]</ref>. 이러한 시간에 따른 [[빛간섭 단층 촬영|OCT]]의 반사도의 변화를 바탕으로 역상관 신호를 계산하게 되며, 역상관 신호는 0 (변화 없음)에서 1 (최대 변화) 까지로 나타내며, 높은 역상관 신호일수록 높은 혈류 속도를 나타낸다. 하지만 모든 시간에 따른 변화, 즉 속도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은 아니며,민감도 한계 (sensitivity limit) 및 포화 한계 (saturation limit) 에 따른 혈류 흐름의 속도를 감지할 수 있는 범위를 가지고 있어, 검사법으로 측정할 수 있는 최저 속도와 최고 속도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 최저 속도 이하,최고 속도 이상의 경우는 같은 역상관 신호로 나타나며, 더 늦은, 더 빠른 속도를 구분해내기 어렵다<ref name=r5 /><ref name=r6 /><ref name=r8 />. | ||
* 혈관성 역상관 신호 : 적혈구의 움직임, 혈류가 만들어 내는 역상관 신호이다. 이를 기반으로 망막 및 맥락막의 혈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 * 혈관성 역상관 신호 : 적혈구의 움직임, 혈류가 만들어 내는 역상관 신호이다. 이를 기반으로 망막 및 맥락막의 혈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