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간섭 단층 혈관조영술: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3,181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12월 26일 (목)
잔글
8번째 줄: 8번째 줄:
== 정상 소견 ==
== 정상 소견 ==
망막 중심동맥으로부터 분지된 망막의 혈관들은 각 사분면으로 뻗어나가며. 이 중 이측으로 뻗어나가는 혈관들은 황반부의 혈액 공급을 담당하게 되고, 황반부 중심에서는 [[오목 무혈관 부위]] (foveal avascular zone, FAZ) 를 형성한다. 망막의 가장 내층에 위치한 큰 동맥에서부터 세동맥, 모세혈관을 거치며 망막 내에 분포하게 되는데, 이 중 망막 내 동맥과 정맥을 연결하는 모세혈관은 위치상 크게 표층 모세혈관총 (superficial capillary plexus) 과 심층 모세혈관총 (deep capillary plexus) 으로 나누게 된다. 기존의 [[형광 안저 혈관조영술|FA]]은 망막의 혈관들을 영상화하는 데 큰 도움을 주었지만, 좀 더 깊은 망막의 혈관들을 보는 데는 제한이 있었다. OCTA는 이러한 점을 보완하여, 비교적 선명하고 깊이에 따른 망막과 맥락막의 혈관들을 영상화할 수 있다.1,3,5
망막 중심동맥으로부터 분지된 망막의 혈관들은 각 사분면으로 뻗어나가며. 이 중 이측으로 뻗어나가는 혈관들은 황반부의 혈액 공급을 담당하게 되고, 황반부 중심에서는 [[오목 무혈관 부위]] (foveal avascular zone, FAZ) 를 형성한다. 망막의 가장 내층에 위치한 큰 동맥에서부터 세동맥, 모세혈관을 거치며 망막 내에 분포하게 되는데, 이 중 망막 내 동맥과 정맥을 연결하는 모세혈관은 위치상 크게 표층 모세혈관총 (superficial capillary plexus) 과 심층 모세혈관총 (deep capillary plexus) 으로 나누게 된다. 기존의 [[형광 안저 혈관조영술|FA]]은 망막의 혈관들을 영상화하는 데 큰 도움을 주었지만, 좀 더 깊은 망막의 혈관들을 보는 데는 제한이 있었다. OCTA는 이러한 점을 보완하여, 비교적 선명하고 깊이에 따른 망막과 맥락막의 혈관들을 영상화할 수 있다.1,3,5
OCTA에서는 크게 망막의 모세혈관 들을 두 부분으로 나누어서 영상화한다.
* 표층 모세혈관총 : 일반적으로 [[신경절세포층]]과 [[내망상층]]에 위치한 혈관을 영상화한다. 위쪽과 아래쪽의 혈관궁 (vascular arcade) 으로부터 뻗어져 나오는 혈관들이 중심와를 향하는 방향을 띠고, 큰 혈관들로부터 작은 혈관들이 뻗어져 나와, 대개는 선형으로 중심부로 뻗어져 나가 FAZ 주위를 둘러싸는 양상을 띤다.
* 심층 모세혈관총 : [[내핵층]]과 [[외망상층]]에 위치한 혈관을 영상화한다.3 심층 모세혈관총은 해부학적으로 보면, 두 층으로 더 세분화하긴 하지만 대개 구분이 명확하게 되지는 않아, 하나의 모세혈관총으로 표현된다. 중심와 주변으로 비교적 정돈된 분포를 나타내며, 수평, 수직 방향으로 주변 혈관들과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어, 조금 더 복잡한 양상을 나타낸다. 심층 모세혈관총보다 더 외측은 정상적으로는 망막 혈관이 관찰되지 않는 무혈관 부위 (avascular zone) 이다.
망막혈관뿐만 아니라 맥락막의 혈류 정보도 일부 확인 할 수 있다. 맥락막 모세혈관은 맥락막 안쪽에 치밀하게 모여있으며, 외측 망막과 [[망막 색소상피]]에 혈류를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정확한 맥락막 모세혈관의 모양이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후극부에는 소엽 (lobular) 모양 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고되고 있고, 내경은 일반적인 모세혈관보다 조금 더 넓은 정도여서, 현재까지 알려진 영상 기법으로는 맥락막 모세혈관은 정확히 구분해 내기는 어렵다. 맥락막 모세혈관은 기존에는 관찰하기 힘들었던 부분이나, OCTA에서는 이를 일부 영상화할 수 있다. 맥락막 모세혈관을 영상화하기 위한 구획 범위는 기기마다 다를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브루크막]]으로부터 맥락막 방향으로 약 20㎛ 두께 부분의 혈류 정보를 획득하여 영상화하며, 많은 점이 미만성으로 분포하는 듯한 과립상의 양상을 나타낸다. 해상도 등의 문제로 망막 혈관과는 달리 혈관과 주위 조직을 정확하게 구분하기는 어려워, 혈관 밀도보다는 혈류가 없는 부분 (flow-void) 영역을 평가하기도 한다.3,6-8
맥락막 모세혈관보다 더 깊은 부위의 맥락막의 자틀러층 (Sattler's layer}이나 할러층 (Haller's layer) 의 영상을 얻을 수도 있다. 하지만 맥락막의 이러한 깊은 부분은 위쪽에 위치하고 있는 망막 색소상피와 맥락막 모세혈관에 의해서 산란이 일어나 혈류의 정보가 잘 포착되지는 않는다. 신호의 유실, 영상 신호의 역치를 처리하는 과정 등에 의해 자틀러층과 할러층의 혈관들은 대개 검고 어둡게 보인다. 파장 가변 광원 OCTA의 경우, 이론적으로는 좀 더 깊은 곳의 정보를 얻을 수 있긴 하지만, 상기 이유로 인해, 아직 혈관들의 정확한 영상화는 어렵다.


== 해석 ==
== 해석 ==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