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간섭 단층 혈관조영술: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2 바이트 제거됨 ,  2024년 12월 26일 (목)
잔글
잔글 (→‎장점)
3번째 줄: 3번째 줄:
OCTA는 [[빛간섭 단층 촬영|OCT]]를 이용하여 같은 위치에서 반복적으로 촬영한 단면 (B-scan) 영상을 이용한다<ref name=r3 /><ref name=r4 /><ref name=r5 /><ref name=r6 />. 이러한 단면 영상에서 각 픽셀별로 신호를 분석하는데, 이 중 혈류, 즉 적혈구의 움직임이 있는 곳은 시간에 따른 반사도의 변화가 관찰되고, 혈류가 없는 정적인 조직은 시간에 따른 반사도 변화가 없는 것을 이용해, 각 위치, 촬영 단면으로부터 획득되 는 신호를 구분하여, 이렇게 얻어진 각 단면의 신호들을 모아서 시간에 따른 변화가 있는 부분을 영상화한다<ref name=r3 /><ref name=r4 /><ref name=r5 /><ref name=r6 />. [[빛간섭 단층 촬영|OCT]]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이러한 OCTA의 발달은 [[빛간섭 단층 촬영|OCT]] 기술의 발달과 함께 하였는데, 최근 빠른 속도로 촬영이 가능한 스펙트럼 영역 (spectral domain), 파장 가변 광원 (swept source) 기반 [[빛간섭 단층 촬영|OCT]]은 이러한 OCTA의 개발을 가능하게 하였다.
OCTA는 [[빛간섭 단층 촬영|OCT]]를 이용하여 같은 위치에서 반복적으로 촬영한 단면 (B-scan) 영상을 이용한다<ref name=r3 /><ref name=r4 /><ref name=r5 /><ref name=r6 />. 이러한 단면 영상에서 각 픽셀별로 신호를 분석하는데, 이 중 혈류, 즉 적혈구의 움직임이 있는 곳은 시간에 따른 반사도의 변화가 관찰되고, 혈류가 없는 정적인 조직은 시간에 따른 반사도 변화가 없는 것을 이용해, 각 위치, 촬영 단면으로부터 획득되 는 신호를 구분하여, 이렇게 얻어진 각 단면의 신호들을 모아서 시간에 따른 변화가 있는 부분을 영상화한다<ref name=r3 /><ref name=r4 /><ref name=r5 /><ref name=r6 />. [[빛간섭 단층 촬영|OCT]]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이러한 OCTA의 발달은 [[빛간섭 단층 촬영|OCT]] 기술의 발달과 함께 하였는데, 최근 빠른 속도로 촬영이 가능한 스펙트럼 영역 (spectral domain), 파장 가변 광원 (swept source) 기반 [[빛간섭 단층 촬영|OCT]]은 이러한 OCTA의 개발을 가능하게 하였다.
== 장점 ==
== 장점 ==
수진자 입장에서는 상대적으로 검사 받기가 편하다. 형광 물질을 주입하지 않기 때문에 질환의 진단이나 경과를 관찰함에 있어, 특별한 부작용 없이 반복하여 검사가 가능하고, 검사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으며, 임산부나 아이에게도 검사가 가능하다. 영상의 구현 및 해석하는 면에서 [[형광 안저 혈관조영술|FA]]는 전체 망막 혈관의 정보를 한 단면으로 보여주는 2차원 정보인 반면, OCTA는 여러 단면을 볼 수 있는 3차원 정보를 제공하여, 구역을 조정함에 따라 각 망막층에서 다양한 면에서 혈관들을 관찰할 수 있다<ref name=r3 /><ref name=r7>Spaide RF et al. Retinal vascular layers imaged by FA and OCTA. ''JAMA Ophthalmol''. 2015 Jan;133(1):45-50. [https://pubmed.ncbi.nlm.nih.gov/25317632/ 연결]</ref>. 황반부의 모세혈관을 관찰함에 있어서도, [[형광 안저 혈관조영술|FA]]의 초기 영상만큼 세밀한 수준으로 영상을 얻을 수 있다<ref name=r5 /><ref name=r7 />. 그리고 [[형광 안저 혈관조영술|FA]]와 달리 형광 물질의 누출이나 고임, 염색이 되지 않기 때문에 신생혈관 등 망막의 혈관의 모습을 확인하는 데는 [[형광 안저 혈관조영술|FA]]보다 더 나을 수도 있다.
환자 입장에서는 상대적으로 검사 받기가 편하다. 형광 물질을 주입하지 않기 때문에 질환의 진단이나 경과를 관찰함에 있어, 특별한 부작용 없이 반복하여 검사가 가능하고, 검사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으며, 임산부나 아이에게도 검사가 가능하다. 영상의 구현 및 해석하는 면에서 [[형광 안저 혈관조영술|FA]]는 전체 망막 혈관의 정보를 한 단면으로 보여주는 2차원 정보인 반면, OCTA는 여러 단면을 볼 수 있는 3차원 정보를 제공하여, 구역을 조정함에 따라 각 망막층에서 다양한 면에서 혈관들을 관찰할 수 있다<ref name=r3 /><ref name=r7>Spaide RF et al. Retinal vascular layers imaged by FA and OCTA. ''JAMA Ophthalmol''. 2015 Jan;133(1):45-50. [https://pubmed.ncbi.nlm.nih.gov/25317632/ 연결]</ref>. 황반부의 모세혈관을 관찰함에 있어서도, [[형광 안저 혈관조영술|FA]]의 초기 영상만큼 세밀한 수준으로 영상을 얻을 수 있다<ref name=r5 /><ref name=r7 />. 그리고 [[형광 안저 혈관조영술|FA]]와 달리 형광 물질의 누출이나 고임, 염색이 되지 않기 때문에 신생혈관 등 망막의 혈관의 모습을 확인하는 데는 [[형광 안저 혈관조영술|FA]]보다 더 나을 수도 있다.
 
== 단점 ==
== 단점 ==
영상을 획득하는 부위가 아직까지는 3×3, 6×6, 12×12 mm 정도로 후극부에 국한되어 있고, 수진자에 따라 촬영 조건이 좋지 않은 경우, 영상의 질이 좋지 않아 이로 인해 해석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시간에 따른 변화, 즉 동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형광 안저 혈관조영술|FA]]에 비해, 촬영 시점의 정적인 정보만을 제공하는 단점이 있고, 형광 누출, 고임, 염색이 확인되지 않기 때문에, 이로 인해 얻을 수 없는 정보들을 고려하여 해석해야 한다.
영상을 획득하는 부위가 아직까지는 3×3, 6×6, 12×12 mm 정도로 후극부에 국한되어 있고, 수진자에 따라 촬영 조건이 좋지 않은 경우, 영상의 질이 좋지 않아 이로 인해 해석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시간에 따른 변화, 즉 동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형광 안저 혈관조영술|FA]]에 비해, 촬영 시점의 정적인 정보만을 제공하는 단점이 있고, 형광 누출, 고임, 염색이 확인되지 않기 때문에, 이로 인해 얻을 수 없는 정보들을 고려하여 해석해야 한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