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로이드 유발 녹내장: 두 판 사이의 차이

9 바이트 제거됨 ,  2020년 3월 12일 (목)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새 문서: 스테로이드 유발 녹내장 (steroid-induced glaucoma; SIG) "장기간의 스테로이드 사용은 원발 개방각 녹내장과 임상 증상이 비슷한 안압의 상승을...)
 
잔글편집 요약 없음
5번째 줄: 5번째 줄:
안압의 상승은 강한 스테로이드를 사용한 경우에는 수 주, 약한 스테로이드를 사용한 경우에는 수 개월 내에 발생하나 수년 후에 발생할 수도 있다.
안압의 상승은 강한 스테로이드를 사용한 경우에는 수 주, 약한 스테로이드를 사용한 경우에는 수 개월 내에 발생하나 수년 후에 발생할 수도 있다.
== 병태 생리 ==
== 병태 생리 ==
* 세포외 기질의 변화 : hyaluronidase-sensitive glycosaminoglycan은 정상적으로 섬유주 내에 존재하는데 스테로이드는 용해소체막(lysosomal membrane)을 안정화시켜 용해소체 내에 있는 hyaluronidase의 유출을 막음으로써 섬유주 내에 polymerized glycosaminoglycan의 축적을 야기하는데 이는 수화되면 생리적 부종을 일으켜 섬유주를 폐쇄하게 된다. 또한 스테로이드로 처치한 섬유주 세포를 배양하면 탄력소, 섬유결합소, laminin과 같은 단백질의 증가와 함께 조직 플라스미노겐 활성제, 4형 아교질 분해 효소와 stromelysin 등의 합성 저하가 관찰되어 이 변화들이 세포외 기질의 축적 증가와 함께 방수 유출의 저항을 야기하는 것으로 생각된다.<p>2. 탐식 작용의 변화 : 섬유주 내의 내피세포는 탐식 기능을 가지며 방수의 찌꺼기가 쉴렘관의 내벽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 스테로이드는 섬유주 내피의 탐식 작용을 억제함으로써 섬유주에 방수의 찌꺼기의 축적을 유발하여 방수 유출을 저해한다고 한다.<p>3. 유전적 영향 : dexamethasone에 의해 발현이 증가되는 유전자는 dexamethasone에 노출된 섬유주 세포와 노출되지 않은 섬유주 세포에서 비교 관찰한 결과 myocilin 이외에 여러 유전자가 관여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다만 스테로이드에 의한 안압 상승과 myocilin 혹은 optineurin 돌연변이와는 현재 관련이 없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유전적인 영향에 대하여는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p>4. 스테로이드 입자에 의한 유출 차단 : 당뇨 황반변성에서 유리체강 내 triamcinolone 주사 후 안압이 상승한 한 예에서 흰색의 크리스탈 입자가 발견되었다. 이들 입자가 직접 섬유주를 막아 안압이 상승할 가능성도 제시되고 있다.
* 세포외 기질의 변화 : hyaluronidase-sensitive glycosaminoglycan은 정상적으로 섬유주 내에 존재하는데 스테로이드는 용해소체막(lysosomal membrane)을 안정화시켜 용해소체 내에 있는 hyaluronidase의 유출을 막음으로써 섬유주 내에 polymerized glycosaminoglycan의 축적을 야기하는데 이는 수화되면 생리적 부종을 일으켜 섬유주를 폐쇄하게 된다. 또한 스테로이드로 처치한 섬유주 세포를 배양하면 탄력소, 섬유결합소, laminin과 같은 단백질의 증가와 함께 조직 플라스미노겐 활성제, 4형 아교질 분해 효소와 stromelysin 등의 합성 저하가 관찰되어 이 변화들이 세포외 기질의 축적 증가와 함께 방수 유출의 저항을 야기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탐식 작용의 변화 : 섬유주 내의 내피세포는 탐식 기능을 가지며 방수의 찌꺼기가 쉴렘관의 내벽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 스테로이드는 섬유주 내피의 탐식 작용을 억제함으로써 섬유주에 방수의 찌꺼기의 축적을 유발하여 방수 유출을 저해한다고 한다.
* 유전적 영향 : dexamethasone에 의해 발현이 증가되는 유전자는 dexamethasone에 노출된 섬유주 세포와 노출되지 않은 섬유주 세포에서 비교 관찰한 결과 myocilin 이외에 여러 유전자가 관여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다만 스테로이드에 의한 안압 상승과 myocilin 혹은 optineurin 돌연변이와는 현재 관련이 없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유전적인 영향에 대하여는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스테로이드 입자에 의한 유출 차단 : 당뇨 황반변성에서 유리체강 내 triamcinolone 주사 후 안압이 상승한 한 예에서 흰색의 크리스탈 입자가 발견되었다. 이들 입자가 직접 섬유주를 막아 안압이 상승할 가능성도 제시되고 있다.
== 위험 인자 ==
== 위험 인자 ==
* [[원발 개방각 녹내장]]
* [[원발 개방각 녹내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