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 상피 각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1,164 바이트 추가됨 ,  2025년 1월 6일 (월)
잔글
18번째 줄: 18번째 줄:


역학 보고에 따르면 지도모양 궤양은 재발성 상피 각막염의 약 22%에서 보이며 일반적으로 가지모양 각막염에 비해 치유 기간이 길고 증상이 더 길게 나타나며 이전에 국소 스테로이드 사용과 관계가 있다고 한다<ref>Norberg P et al. Phylogenetic analysis of clinical HSV1 isolates identified 3 genetic groups and recombinant viruses. ''J Virol''. 2004 Oct;78(19):10755-64. [https://pubmed.ncbi.nlm.nih.gov/15367642/ 연결]</ref>. 그러나 Liesegang 등<ref>Liesegang TJ et al. Epidemiology of ocular herpes simplex. Incidence in Rochester, Minn, 1950-1982. ''Arch Ophthalmol''. 1989 Aug;107(8):1155-9. [https://pubmed.ncbi.nlm.nih.gov/2787981/ 연결]</ref>에 따르면 약 4%의 재발성 상피 각막염만 지도모양 양상을 보인다고 하며 국소 스테로이드 등의 사용과는 관계가 없다고 한다<ref>Liesegang TJ. Epidemiology of ocular herpes simplex. Natural history in Rochester, Minn, 1950-1982. ''Arch Ophthalmol''. 1989 Aug;107(8):1160-5. [https://pubmed.ncbi.nlm.nih.gov/2757546/ 연결]</ref>.
역학 보고에 따르면 지도모양 궤양은 재발성 상피 각막염의 약 22%에서 보이며 일반적으로 가지모양 각막염에 비해 치유 기간이 길고 증상이 더 길게 나타나며 이전에 국소 스테로이드 사용과 관계가 있다고 한다<ref>Norberg P et al. Phylogenetic analysis of clinical HSV1 isolates identified 3 genetic groups and recombinant viruses. ''J Virol''. 2004 Oct;78(19):10755-64. [https://pubmed.ncbi.nlm.nih.gov/15367642/ 연결]</ref>. 그러나 Liesegang 등<ref>Liesegang TJ et al. Epidemiology of ocular herpes simplex. Incidence in Rochester, Minn, 1950-1982. ''Arch Ophthalmol''. 1989 Aug;107(8):1155-9. [https://pubmed.ncbi.nlm.nih.gov/2787981/ 연결]</ref>에 따르면 약 4%의 재발성 상피 각막염만 지도모양 양상을 보인다고 하며 국소 스테로이드 등의 사용과는 관계가 없다고 한다<ref>Liesegang TJ. Epidemiology of ocular herpes simplex. Natural history in Rochester, Minn, 1950-1982. ''Arch Ophthalmol''. 1989 Aug;107(8):1160-5. [https://pubmed.ncbi.nlm.nih.gov/2757546/ 연결]</ref>.
=== 가장자리 각막염 ===
가지모양 각막염과 같은 활발한 바이러스 증식 병변으로 병변이 윤부 근처에 있으며 혈관 형성올 동반하며 윤부 혈관으로부터 염중 세포가 잘 침윤하는 양상을 보인다. 따라서 특징적으로 윤부 주변에 궤양을 동반한 전부 기질의 염증성 병변이 나타난다. 일부 환자는 기질세포 침윤 주변에 가지모양 병변을 보일 수 있다.
가장자리 각막염을 동반한 경우는 다른 상피세포 병변에 비해 염중이 월씬 심하기 때문에 임상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더 많다. 이 병변은 일반적으로 각막 가운데에 나타나는 [[단순포진 바이러스|HSV]] 상피 병변보다 치료하기가 더 어렵다. 감염된 경우에는 항바이러스 치료에 잘 반응하지만 면역 반응의 경우에는 금방 가라앉지 않아 병이 더 길어지고 임상 양상도 더 심하기 때문에 치료가 힘든 것처럼 생각될 수 있다. 일부 환자에서는 면역 반응을 가라앉히기 위해 국소 항바이러스 치료 후 국소 스테로이드가 필요할 수 있다.


== 후유증 ==
== 후유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