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 상피 각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1,905 바이트 추가됨 ,  2025년 1월 6일 (월)
잔글
22번째 줄: 22번째 줄:


가장자리 각막염을 동반한 경우는 다른 상피세포 병변에 비해 염중이 월씬 심하기 때문에 임상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더 많다. 이 병변은 일반적으로 각막 가운데에 나타나는 [[단순포진 바이러스|HSV]] 상피 병변보다 치료하기가 더 어렵다. 감염된 경우에는 항바이러스 치료에 잘 반응하지만 면역 반응의 경우에는 금방 가라앉지 않아 병이 더 길어지고 임상 양상도 더 심하기 때문에 치료가 힘든 것처럼 생각될 수 있다. 일부 환자에서는 면역 반응을 가라앉히기 위해 국소 항바이러스 치료 후 국소 스테로이드가 필요할 수 있다.
가장자리 각막염을 동반한 경우는 다른 상피세포 병변에 비해 염중이 월씬 심하기 때문에 임상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더 많다. 이 병변은 일반적으로 각막 가운데에 나타나는 [[단순포진 바이러스|HSV]] 상피 병변보다 치료하기가 더 어렵다. 감염된 경우에는 항바이러스 치료에 잘 반응하지만 면역 반응의 경우에는 금방 가라앉지 않아 병이 더 길어지고 임상 양상도 더 심하기 때문에 치료가 힘든 것처럼 생각될 수 있다. 일부 환자에서는 면역 반응을 가라앉히기 위해 국소 항바이러스 치료 후 국소 스테로이드가 필요할 수 있다.
[[단순포진 바이러스|HSV]] 가장자리 각막 궤양은 [[포도구균 가장자리 각막염|포도알균 가장자리 각막 궤양]] (SMK) 과 혼동될 수 있어 두 질환을 감별해야 한다. 만일 적절하게 치료하지 못하면, 특히 항바이러스 제제를 사용하지 않고 국소 스테로이드를 사용한 경우 병변이 각막 중심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병변이 중심부로 진행해 가지모양 각막염이나 기질 세포침윤이 발생한 후 진단될 수 있다. [[단순포진 바이러스|HSK]] 가장자리 각막 궤양은 [[포도구균 가장자리 각막염|SMK]]와 몇 가지 특징으로 구분될 수 있다.
# [[단순포진 바이러스|HSV]] 가장자리 각막 궤양은 궤양으로 시작한 후 침윤이 심해시는 양상으로 진행한다. 하지만 [[포도구균 가장자리 각막염|SMK]]는 세포 침윤으로 시작해서 병이 심해지는 경우에 궤양이 발생할 수 있다.
# [[단순포진 바이러스|HSV]] 가장자리 각막 궤양은 윤부 충혈과 함께 발생하며 심한 경우 분명한 신생혈관 형성 (neovascularization) 을 관찰할 수 있다. 그러나 [[포도구균 가장자리 각막염|SMK]]는 세포 침윤과 윤부 사이에 lucid interval을 볼 수 있다.
# 만일 치료하지 않으면 [[단순포진 바이러스|HSV]] 가장자리 각막 궤양은 각막 중심부로 진행하지만 [[포도구균 가장자리 각막염|SMK]]는 그 반대이다.
# [[단순포진 바이러스|HSV]] 가장자리 각막 궤양은 눈꺼풀염을 동반하지 않으나 [[포도구균 가장자리 각막염|SMK]]는 거의 모든 경우에 동반한다.
# [[포도구균 가장자리 각막염|SMK]]는 어느 곳에나 발생하지만 [[포도구균 가장자리 각막염|SMK]]는 2, 4, 8, 10시 방향, 눈꺼풀이 각막과 만나는 곳 주변에서 잘 발생한다.


== 후유증 ==
== 후유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