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 상피 각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1,855 바이트 추가됨 ,  2025년 1월 6일 (월)
잔글
잔글 (→‎치료)
잔글 (→‎=)
39번째 줄: 39번째 줄:
=== 죽은 조직 제거 ===
=== 죽은 조직 제거 ===
멸균 며봉을 이용한 죽은 조직 제거 (debriment) 는 최근 약제가 좋아져서 중요성이 희석되지만 원래 상피 각막염 치료의 목적이 살아있는 바이러스의 제거라는 점을 생각하면 죽은 조직 제거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멸균 며봉을 이용한 죽은 조직 제거 (debriment) 는 최근 약제가 좋아져서 중요성이 희석되지만 원래 상피 각막염 치료의 목적이 살아있는 바이러스의 제거라는 점을 생각하면 죽은 조직 제거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  
=== 점안 항바이러스제 ===
죽은 조직 제거 후 일반적으로
* 0.15% [[간시클로버]], 5/d
* 1% trifluridine,  2시간 마다
를 처방한다. 상피세포 치유가 끝나면
* [[간시클로버]] 0.15% 점안 을 3/d 로 줄이거나
* 1% trifluridine, 5/d 로 줄여서 1주간 더 사용
을 권장한다. Vidarabine 3% 연고를 5/d 점안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는 특히 점안 약제를 사용하기 어려운 소아 환자에게 유용하다.
=== 전신 항바이러스제 ===
점안 혹은 국소 항바이러스 제제의 대안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그 효과는 유사하다. 이제 많은 임상의들이 쳐방이 쉽고, 투약 일정이 용이하며, 국소 통중이나 작열감을 피할 수 있어 국소 항바이러스 제제보다 경구용 제제, 특히 최근에 개발된 약제들의 처방을 늘려 가는 추세이다.
* [[아시클로버]] : 400 mg, 5/d
* [[발라시클로버]] : 500 mg, 3/d
* [[팜시클로버]] : 250mg 2/d
7~10일간 혹은 상피세포 치유가 끝날 때까지 사용하고 이후 용량올 줄인다. 경구용을 포함한 전신용 항바이러스 제제는 이미 안구 표면에 심한 질환이 있는 환자나 면역력이 떨어진 경우, 소아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경도나 중등도의 면역 결핍자에게는 경구용 항바이러스 제제로 충분할 수 있으나 심한 면역 결핍자에게는 항바이러스 제제의 정맥 투여가 효과적이다. 또 6주~5세 미만의 소아의 경우 국소 항바이러스 제제의 투여가 어려울 수 있어 경구를 포함한 전신 투여가 효과적이다<ref>Schwartz GS et al. Oral acyclovir for the management of HSK in children. ''Ophthalmology''. 2000 Feb;107(2):278-82. [https://pubmed.ncbi.nlm.nih.gov/10690825/ 연결]</ref>.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