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합병증의 치료) |
||
29번째 줄: | 29번째 줄: | ||
충분히 절제하지 못하거나 감염이 안내로 침범할 위험이 있으므로 가능하면 전층 각막 이식을 미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염이 완전히 조절된 후에는 각막 혼탁을 제거하여 시력을 개선하기 위해 광학적 전층 각막 이식을 시행할 수 있다. | 충분히 절제하지 못하거나 감염이 안내로 침범할 위험이 있으므로 가능하면 전층 각막 이식을 미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염이 완전히 조절된 후에는 각막 혼탁을 제거하여 시력을 개선하기 위해 광학적 전층 각막 이식을 시행할 수 있다. | ||
== 합병증의 치료 == | == 합병증의 치료 == | ||
눈꺼풀 이상과 같은 위험 | 최적의 치료 결과를 위해 눈꺼풀 이상과 같은 동반된 위험 인자를 교정해야 한다. 안구 구조의 안정성을 저해하는 심각한 각막 두께 감소, 절박 천공 혹은 천공, 진행하거나 반응하지 않는 각막염이나 안내염 등이 있다면 이에 대한 추가 치료로 조직 접합제, [[치료 콘택트렌즈]] (TCL), 양막 이식, 각막 이식, [[각막 아교질 교차 결합]], 층판 각막 절제 등이 필요할 수 있다. | ||
=== 조직 접합체 === | === 조직 접합체 === | ||
Cyanoacrylate 조직 접합체는 진행하는 각막 두께 감소, 데스메막류, 각막 천공에서 만족스런 치료 | Cyanoacrylate (N-butyl-2-cyanoacrylate) 조직 접합체는 진행하는 각막 두께 감소, 데스메막류, 각막 천공에서 만족스런 치료 결과를 보인다. 수복적 (tectonic) 지지와 정균 (bacteriostatic) 작용 외에도 각막 창상 부위에서 백혈구 단백질 분해 효소를 억제해 각막 융해를 멈추는 역할을 한다, 각막 천공의 크기가 2~3 mm 이내인 경우 조직 접착제로 치료할 수 있는데,접착제를 떨어뜨리기 전에 괴사된 조직을 궤양 기저부에서 제거해야 한다, 각막 독성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천공 부위를 막을 정도의 최소량만 사용해야 한다. 환자의 불편감을 줄이고 접착제의 위치가 잘 유지되도록 [[치료 콘택트렌즈|TCL]]을 착용시키며, 접착제는 저절로 떨어지거나 각막 이식을 시행할 때까지 그대로 둔다. | ||
=== 치료 콘택트렌즈 === | === 치료 콘택트렌즈 === | ||
치료 콘택트렌즈는 원인균이 완전히 제거된 이후 각막 상피 치유를 촉진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동안 항생제 사용을 지속하고, 감염이 재발하지 않는지 주의 깊게 살펴야 한다. 절박 천공이나 미세 천공이 있는 경우에도 수복적 지지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 | 치료 콘택트렌즈는 원인균이 완전히 제거된 이후 각막 상피 치유를 촉진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동안 항생제 사용을 지속하고, 감염이 재발하지 않는지 주의 깊게 살펴야 한다. 절박 천공이나 미세 천공이 있는 경우에도 수복적 지지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 | ||
{{참고|각막}} | {{참고|각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