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2번째 줄: | 2번째 줄: | ||
== 치료 지침의 변화 == | == 치료 지침의 변화 == | ||
이전부터 건성안의 치료 지침은 병인에 근거하여 작성 되었음에도 불구하고,실제 치료 계획 수립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 이전부터 건성안의 치료 지침은 병인에 근거하여 작성 되었음에도 불구하고,실제 치료 계획 수립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 ||
=== 델피 패널 ( | === 델피 패널 (2006) === | ||
Wilmer Instirute 에서 건성안 전문가들이 모여 델피 | Wilmer Instirute 에서 건성안 전문가들이 모여 델피 패널 (Delphi Panel) 을 통한 증상과 징후에 따른 진단과 단계벌 치료 지침을 합의하여 2006년 보고하였다<ref>Behrens A et al; Dysfunctional tear syndrome study group. Dysfunctional tear syndrome : a Delphi approach to treatment recommendations. Cornea. 2006 Sep;25(8):900-7. [https://pubmed.ncbi.nlm.nih.gov/17102664/ 연결]</ref>. 또한 눈물 기능 이상증 (dysfunctional tear syndroem) 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눈꺼풀 테두리에 병변을 동반한 경우,눈불 분비에 장애가 있는 경우, 눈꺼풀 병변이 없는 경우의 세 가지로 분류하고 각각의 경우에 따른 치료를 권장하기도 하였다. | ||
=== 한국 각막 질환 연구회 (2014) === | |||
델피 패널에서 제시한 건성안의 중증도(level 1~4) 에 기반하여 건성안의 증상과 소견에 따른 건성안 진단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level에 따른 권장 치료 방법을 함께 제시하였다<ref>Hyon J et al; Korean Corneal Disease Study Group. Korean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dry eye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linical efficacy. ''KJO''. 2014 Jun;28(3):197-206. [https://pubmed.ncbi.nlm.nih.gov/24882952/ 연결]</ref>. | |||
== 1단계 == | == 1단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