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 혈청: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80 바이트 추가됨 ,  2025년 3월 21일 (금)
잔글
잔글 (→‎기능)
잔글 (→‎기능)
46번째 줄: 46번째 줄:
기존 연구에서 자가 혈청은 심한 건성안 증상과 징후를 호전시키며<ref name=r19>Tsubota K et al. Treatment of dry eye by AS application in Sjögren's syndrome. ''BJO''. 1999 Apr;83(4):390-5. [https://pubmed.ncbi.nlm.nih.gov/10434857/ 연결]</ref>, 굴절 교정 수술 후 발생한 [[건성안]]에서 인공 눈물에 비해 [[로즈 벵갈]] 염색 정도와 [[눈물막 파괴 시간]]을 줄여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지속 각막 상피 결손의 치료에 이용되며<ref name=r28>Tsubota K et al. Treatment of persistent corneal ED by AS application. ''Ophthalmology''. 1999 Oct;106(10):1984-9. [https://pubmed.ncbi.nlm.nih.gov/10519596/ 연결]</ref>, 알부민 성분이 각막과 결막 상피의 세포 자멸사를 억제한다.
기존 연구에서 자가 혈청은 심한 건성안 증상과 징후를 호전시키며<ref name=r19>Tsubota K et al. Treatment of dry eye by AS application in Sjögren's syndrome. ''BJO''. 1999 Apr;83(4):390-5. [https://pubmed.ncbi.nlm.nih.gov/10434857/ 연결]</ref>, 굴절 교정 수술 후 발생한 [[건성안]]에서 인공 눈물에 비해 [[로즈 벵갈]] 염색 정도와 [[눈물막 파괴 시간]]을 줄여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지속 각막 상피 결손의 치료에 이용되며<ref name=r28>Tsubota K et al. Treatment of persistent corneal ED by AS application. ''Ophthalmology''. 1999 Oct;106(10):1984-9. [https://pubmed.ncbi.nlm.nih.gov/10519596/ 연결]</ref>, 알부민 성분이 각막과 결막 상피의 세포 자멸사를 억제한다.


국내 연구진에 따르면,심한 건성안 환자에서 제대 혈청을 점안한 경우 치료 전에 비해 유의한 호전을 보였고,말초 혈액올 이용한 AS와 비교하여 제대 혈청 점안이 증상 및 안구 표면 손상 개선에 더 효과적임을 보고한 바 있나<ref>Yoon KC et al. Comparison of AS and umbilical cord serum eye drops for DES. ''AJO''. 2007 Jul;144(1):86-92. [https://pubmed.ncbi.nlm.nih.gov/17493572/ 연결]</ref>. AS 관련한 Cochrane 리뷰<ref>Pan Q et al. AS eye drops for dry eye.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7 Feb 28;2(2):CD009327. [https://pubmed.ncbi.nlm.nih.gov/28245347/ 연결]</ref>에서는 기존 인공눈물에 비해 단기간의 효과는 있으나 장기간 효과에 대해서는 우수하다는 충분한 근거가 없으므로,좀 더 잘 계획된 대규모의 무작위 대조연구가 필요하다는 언급이 있었다.
국내 연구진에 따르면 심한 건성안 환자에서 제대 혈청을 점안한 경우 치료 전에 비해 유의한 호전을 보였고<ref>Yoon KC et al. Application of umbilical cord serum eyedrops for the treatment of DES. ''Cornea''. 2006 Apr;25(3):268-72. [https://pubmed.ncbi.nlm.nih.gov/16633024/ 연결]</ref>,말초 혈액을 이용한 AS와 비교하여 제대 혈청 점안이 증상 및 안구 표면 손상 개선에 더 효과적임을 보고한 바 있다<ref>Yoon KC et al. Comparison of AS and umbilical cord serum eye drops for DES. ''AJO''. 2007 Jul;144(1):86-92. [https://pubmed.ncbi.nlm.nih.gov/17493572/ 연결]</ref>. AS 관련한 Cochrane 리뷰<ref>Pan Q et al. AS eye drops for dry eye.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7 Feb 28;2(2):CD009327. [https://pubmed.ncbi.nlm.nih.gov/28245347/ 연결]</ref>에서는 기존 인공눈물에 비해 단기간의 효과는 있으나 장기간 효과에 대해서는 우수하다는 충분한 근거가 없으므로,좀 더 잘 계획된 대규모의 무작위 대조연구가 필요하다는 언급이 있었다.


== 금기 ==
== 금기 ==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