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수술 결과, 합병증) |
||
24번째 줄: | 24번째 줄: | ||
* 뇌척수액 누출 : 내벽 감압술중 이마-벌집 봉합 위쪽으로 들어가서 체판을 뚫거나 외벽 감압술중 경막을 천공하여 발생한다. 천공 부위가 작으면 bone wax나 조직 아교 (tissue glue), 안와 지방 등으로 막으면 누출이 멈추기도 하지만 누출이 지속되면 천공 부위 봉합이 필요할 수 있다. | * 뇌척수액 누출 : 내벽 감압술중 이마-벌집 봉합 위쪽으로 들어가서 체판을 뚫거나 외벽 감압술중 경막을 천공하여 발생한다. 천공 부위가 작으면 bone wax나 조직 아교 (tissue glue), 안와 지방 등으로 막으면 누출이 멈추기도 하지만 누출이 지속되면 천공 부위 봉합이 필요할 수 있다. | ||
* 복시 : 안와벽에 연결된 외안근 pulley가 손상 받거나 수술 후 유착으로 인해 발생한다. 안구 운동 제한이 있거나 활동기에 있는 TAO 환자를 수술하는 경우 더 자주 발생할 수 있다. | * 복시 : 안와벽에 연결된 외안근 pulley가 손상 받거나 수술 후 유착으로 인해 발생한다. 안구 운동 제한이 있거나 활동기에 있는 TAO 환자를 수술하는 경우 더 자주 발생할 수 있다. | ||
== 외안근 수술 | == 외안근 수술 == | ||
== 눈꺼풀 수술 == | == 눈꺼풀 수술 == | ||
=== 윗눈꺼풀 뒤당김의 교정 === | === 윗눈꺼풀 뒤당김의 교정 === | ||
=== 아랫눈꺼풀 뒤당김의 교정 === | === 아랫눈꺼풀 뒤당김의 교정 === | ||
대개 하직근의 섬유화로 인해 아래 눈꺼풀의 뒤당김이 TAO에서 발생하며 그 외에 호르몬 작용에 의한 교감 신경의 자극, 안구 돌출, 하직근 후전술 등도 아랫눈꺼풀 뒤당김을 일으키는 복합적인 원인들로 작용한다. 대개 각막과 결막 노출을 일으키는 중요한 요소는 아랫눈꺼풀 뒤당김 때문이며 이로 인해 안구 자극 증상이 생기고 눈물 흘림 증상이 생긴다. 아랫눈꺼풀 뒤당김이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아래눈꺼풀 당김기의 후전술을 시행할 수 있으나 2 mm 이상인 경우에는 대부분 spacer를 이용해야 한다. 지금까지 spacer로 이용 된 이식편으로는 자가 이식편으로 귀 연골, 코 연골 점막, 눈꺼풀판 결막, 경구개 점막 등이 있고, 동종 이식편으로 공막, 보존 대퇴근막, 무세포 진피 동종 이식편 등이 있다. 이중에 자가 이식편으로는 요즈음 자가 경구개 점막 이식편이 가장 흔히 쓰이고 동종 이식 편으로는 무세포 진피 동종 이식편이 주로쓰 인다. 경구개점막이식편은 눈꺼풀판과 형태,두 께,경도가 유사하여 아래눈꺼풀모양으로 만들 기 쉽고 점막표면은 수 주 지나면 비각질편평상피로 바■뀐다. 자가귀연골도 적당한 spacer 재료로 많이 쓰이지 만 너무 벗벗하여 밖으로 보일 수도 있고 점막이 없는 점이 단점이다. 최근에 많이 쓰이는 무세포 진피동종이식편은 눈꺼풀판과 형태,경도,유연성 등에서 유사하며,다루기 쉽고,흡수 및 수축이 적 고,염증 및 거부반응이 적으며,자가이식편을 얻 기 위한 수술이 필요없어 수술시간을 줄일 수 있 는 장점이 있다. | 대개 하직근의 섬유화로 인해 아래 눈꺼풀의 뒤당김이 TAO에서 발생하며 그 외에 호르몬 작용에 의한 교감 신경의 자극, 안구 돌출, 하직근 후전술 등도 아랫눈꺼풀 뒤당김을 일으키는 복합적인 원인들로 작용한다. 대개 각막과 결막 노출을 일으키는 중요한 요소는 아랫눈꺼풀 뒤당김 때문이며 이로 인해 안구 자극 증상이 생기고 눈물 흘림 증상이 생긴다. 아랫눈꺼풀 뒤당김이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아래눈꺼풀 당김기의 후전술을 시행할 수 있으나 2 mm 이상인 경우에는 대부분 spacer를 이용해야 한다. 지금까지 spacer로 이용 된 이식편으로는 자가 이식편으로 귀 연골, 코 연골 점막, 눈꺼풀판 결막, 경구개 점막 등이 있고, 동종 이식편으로 공막, 보존 대퇴근막, 무세포 진피 동종 이식편 등이 있다. 이중에 자가 이식편으로는 요즈음 자가 경구개 점막 이식편이 가장 흔히 쓰이고 동종 이식 편으로는 무세포 진피 동종 이식편이 주로쓰 인다. 경구개점막이식편은 눈꺼풀판과 형태,두 께,경도가 유사하여 아래눈꺼풀모양으로 만들 기 쉽고 점막표면은 수 주 지나면 비각질편평상피로 바■뀐다. 자가귀연골도 적당한 spacer 재료로 많이 쓰이지 만 너무 벗벗하여 밖으로 보일 수도 있고 점막이 없는 점이 단점이다. 최근에 많이 쓰이는 무세포 진피동종이식편은 눈꺼풀판과 형태,경도,유연성 등에서 유사하며,다루기 쉽고,흡수 및 수축이 적 고,염증 및 거부반응이 적으며,자가이식편을 얻 기 위한 수술이 필요없어 수술시간을 줄일 수 있 는 장점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