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 (→아랫눈꺼풀 뒤당김의 교정) |
잔글 (→외안근 수술) |
||
25번째 줄: | 25번째 줄: | ||
* 복시 : 안와벽에 연결된 외안근 pulley가 손상 받거나 수술 후 유착으로 인해 발생한다. 안구 운동 제한이 있거나 활동기에 있는 TAO 환자를 수술하는 경우 더 자주 발생할 수 있다. | * 복시 : 안와벽에 연결된 외안근 pulley가 손상 받거나 수술 후 유착으로 인해 발생한다. 안구 운동 제한이 있거나 활동기에 있는 TAO 환자를 수술하는 경우 더 자주 발생할 수 있다. | ||
== 외안근 수술 == | == 외안근 수술 == | ||
TAO에서 외안근이 섬유화로 비탄력적으로 되면 제한 근병증이 생기고 복시가 발생한다. 사시각이 크지 않은 경우에는 프리즘을 사용할 수 있으며, 최근에 발생하여 근육의 수축이 진행되고 있다고 생각되는 경우 [[보툴리눔 독소]] 주사를 시행 할 수 있으나 이미 섬유화가 진행된 경우는 효과가 없고 수술을 해야 한다. 가장 흔히 침범되는 근육은 하직근과 내직근이므로 상전과 외전의 장애가 가장 흔하며 그 다음은 상직근, 외직근의 순서로 온다. 외안근에 대한 수술을 시행하기 전에 최소 6개월간은 병이 안정되어야 한다. 수술은 주로 수축된 근육의 후전술을 시행하며 절제술은 잘 시행하지 않는다. | |||
=== 수술 방법 === | |||
# 국소 마취로 할 수도 있지만 전신 마취로 시행 하면서 조정 봉합법 (adjustable suture technique) 을 시행하는 것이 좋다. | |||
# 강제 견인 검사 (forced duction test) 를 시행해서 섬유화가 진행되어 제한 사시를 일으키는 근육을 수술하게 되며 TAO에서 가장 흔히 시행하는 수술은 하직근의 후전술이다. 하직근을 노출시키기 위해 각막 가장자리의 결막을 열고 구석 바탕 결막판 (fornix-based conjunctival flap) 을 아래로 젖힌다. | |||
# Westcott 가위를 사용하여 테논낭을 박리하며 제어 인대 (check ligament), 근육간 사이막 (intermuscular septum) 을 잘 박리해야 술 후 외안근의 움직임이 좋고 아랫눈꺼풀의 뒤당김 이 적다. | |||
# Double-armed 6-0 vicryl 봉합으로 근육의 양 끝을 단단히 걸어두고, Westcott 가위를 이용 하여 안구로부터 하직근을 분리한 후,double-armed 6-0 vicryl 을 근육 부착부의 공막에 통과시킨 후 임시 매듭을 지어 걸어 놓는다. | |||
== 눈꺼풀 수술 == | == 눈꺼풀 수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