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 (→보존 치료) |
잔글 (→보존 치료) |
||
8번째 줄: | 8번째 줄: | ||
== 보존 치료 == | == 보존 치료 == | ||
대부분에서 큰 합병증 없이 좋아지므로 환자에게 병의 자연 경과를 설명해주고 안심시켜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경미한 TAO인 경우에는 건성안 증상이 대부분이므로, 인공눈물 안약을 자주 투여하고 잘 때에 인공눈물 연고를 사용하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 최근에는 경도의 TAO 환자에서 경구용 셀레늄 100 ㎍ 을 2/d 6~12개월 복용했을 때 임상 활동도 점수 (CAS) 를 낮추고, 안와 연조직 부종을 감소시켜서 복용을 권유하기도 한다. 안구 돌출과 함께 잠잘 때 눈이 잘 감기지 않는 토끼눈이 있으면 눈꺼풀을 테이프로 붙이거나 물안경이나 moist chamber를 착용하 기도 하며, 잘 때 머리를 높이거나 얼음 찜질을 하면 부종을 줄일 수 있다. 복시에는 부착형 프레넬 (Fresnel) 프리즘이 효과적이며 눈부심에는 색안경을 쓴다. 최근에는 윗눈꺼풀 뒤당김의 치료를 수술 치료가 아닌 보톡스, 필러 혹은 [[트리암시놀론]] 국소 주사를 이용하기도 한다. | 대부분에서 큰 합병증 없이 좋아지므로 환자에게 병의 자연 경과를 설명해주고 안심시켜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경미한 TAO인 경우에는 건성안 증상이 대부분이므로, 인공눈물 안약을 자주 투여하고 잘 때에 인공눈물 연고를 사용하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 최근에는 경도의 TAO 환자에서 경구용 셀레늄 100 ㎍ 을 2/d 6~12개월 복용했을 때 임상 활동도 점수 (CAS) 를 낮추고, 안와 연조직 부종을 감소시켜서 복용을 권유하기도 한다. 안구 돌출과 함께 잠잘 때 눈이 잘 감기지 않는 토끼눈이 있으면 눈꺼풀을 테이프로 붙이거나 물안경이나 moist chamber를 착용하 기도 하며, 잘 때 머리를 높이거나 얼음 찜질을 하면 부종을 줄일 수 있다. 복시에는 부착형 프레넬 (Fresnel) 프리즘이 효과적이며 눈부심에는 색안경을 쓴다. 최근에는 윗눈꺼풀 뒤당김의 치료를 수술 치료가 아닌 보톡스, 필러 혹은 [[트리암시놀론]] 국소 주사를 이용하기도 한다. | ||
== 스테로이드 == | |||
대표적인 면역 억제제인 스테로이드는 TAO의 활동기의 치료에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작용 기전은 자세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TAO의 병리 기전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진 여러 사이토카인과 림프구를 포함한 염증 세포, 그리고 안와 섬유모세포의 활성을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전체 환자의 약 2/3에서 스테로이드에 대한 치료 반응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연조직 부종이나 최근에 발생한 외안근 침범, 시신경 압박에 대하여는 비교적 효과적이나, 안구 돌출이나 외안근 섬유화로 인한 눈운동 장애 및 복시에는 상대적으로 효과가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부작용으로는 체중 증가, 쿠싱 증후군과 연관된 지방의 재분포 등이 있으며, 혈당 증가, 혈압 상승, 간 손상, 불면, 감정 변화, 심계 항진, 피부 발진 등도 비교적 흔한 부작용으로 알려져 있다. 골다공증 혹은 골절과 고관절의 무혈성 괴사의 위험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소화기 궤양 및 출혈도 보고된 바 있고 감염에 대한 취약성이 증가될 수 있다. | |||
== somatostatin 유사체 == | == somatostatin 유사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