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샘 눈병증/치료: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504 바이트 추가됨 ,  2025년 5월 11일 (일)
잔글
19번째 줄: 19번째 줄:
=== 경구 투여 ===
=== 경구 투여 ===
하루 60~100 mg 의 프레드니솔론으로 시작하여 2~4주간 유지 후 4~6개월 동안 서서히 감량한다 (5~10 mg/주). 대개 투여 후 48시간부터 급성기 증상 (결막 부종, 안와 부종) 이 호전되기 시작한다. 또한 감랑을 할 때 활동기로 재발할 가능성이 있어 장기 치료제로서는 부적합하고 일정 기간만 써야 하는 단점이 있다.
하루 60~100 mg 의 프레드니솔론으로 시작하여 2~4주간 유지 후 4~6개월 동안 서서히 감량한다 (5~10 mg/주). 대개 투여 후 48시간부터 급성기 증상 (결막 부종, 안와 부종) 이 호전되기 시작한다. 또한 감랑을 할 때 활동기로 재발할 가능성이 있어 장기 치료제로서는 부적합하고 일정 기간만 써야 하는 단점이 있다.
== 방사선 치료 ==
== 면역 억제제 ==
== 스테로이드 국소 주사 ==
== 필러 주입 ==
== [[보툴리눔 독소]] 주사 ==
== 면역 조절제 ==
TAO의 발생 기전에 대한 여러  연구 결과에 따라 이에 대한 선택적인 치료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 rituximab® : B세포의 CD20 길항제이며, 특히 스테로이드에 반응하지 않는 12개월 이내의 최근에 발생한 활동기 환자의 염증을 감소시키고 재발도 없어서 TAO 환자의 수술적 치료를 감소시켰다는 보고도 있지만, 약물을 투여하지 않았을 때와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는 보고도 있다.
* toclizumab® : IL-6 길항제로, 스테로이드 치료에 반응하지 않을 때 투여하여 활동성을 낮추었다는 보고가 있다.
* anakinra® : IL-1 길항제
* etanercept®, adalimumab®, infliximab® : TNF-α 길항제
* teprotumumab® : 안와 섬유모세포와 림프구에서 과발현되는 IGF-1R의 억제 항체로 작용한다. 처음으로 2020년 미국 FDA 승인을 받은 약제로 활동기의 중등도 이상의 TAO 환자에서 안구 돌출을 감소시키고 CAS를 낮추며, 주관적인 복시를 감소시켜 환자의 QoL 점수를 높인다고 보고가 되었다. 부작용으로는 근육 경련, 오심, 탈모, 설사, 청각 이상, 혈당 상승, 피로감 등이 있을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추후 장기간의 임상적 효과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somatostatin 유사체 ==
== somatostatin 유사체 ==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