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 (→분류) |
잔글 (→역학)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섬유 이형성증 (fibrous dysplasia)''' 은 정상적인 뼈 조직이 섬유 조직과 미성숙 무층뼈로 대치되는 원인 불명의 양성 질환이다<ref>Harris WH et al. The natural history of fibrous dysplasia. An orthopaedic, pathological, and roentgenographic study. ''J Bone Joint Surg Am''. 1962 Mar;44-A:207-33. [https://pubmed.ncbi.nlm.nih.gov/14036060/ 연결]</ref>. | '''섬유 이형성증 (fibrous dysplasia)''' 은 정상적인 뼈 조직이 섬유 조직과 미성숙 무층뼈로 대치되는 원인 불명의 양성 질환이다<ref>Harris WH et al. The natural history of fibrous dysplasia. An orthopaedic, pathological, and roentgenographic study. ''J Bone Joint Surg Am''. 1962 Mar;44-A:207-33. [https://pubmed.ncbi.nlm.nih.gov/14036060/ 연결]</ref>. | ||
== 역학 == | == 역학 == | ||
안와 발생은 드물고 머리뼈 중에는 이마뼈에 흔하고 안면에서는 위턱뼈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ref>Kransdorf MJ et al. Fibrous dysplasia. ''Radiographics''. 1990 May;10(3):519-37. [https://pubmed.ncbi.nlm.nih.gov/2188311/ 연결]</ref>. 과거에는 소아 질환으로 사춘기 이후 진행이 멈춘다고 알려져 왔지만, 그러나 최근에는 성인에서도 진행한다는 보고가 있다<ref>Katz BJ et al. Ophthalmic manifestations of fibrous dysplasia : a disease of children and adults. ''Ophthalmology''. 1998 Dec;105(12):2207-15. [https://pubmed.ncbi.nlm.nih.gov/9855148/ 연결]</ref><ref>Bibby K et al. Fibrous dysplasia of the orbit. ''BJO''. 1994 Apr;78(4):266-70. [https://pubmed.ncbi.nlm.nih.gov/8199111/ 연결]</ref>. | 안와 발생은 드물고 머리뼈 중에는 이마뼈에 흔하고 안면에서는 위턱뼈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ref>Kransdorf MJ et al. Fibrous dysplasia. ''Radiographics''. 1990 May;10(3):519-37. [https://pubmed.ncbi.nlm.nih.gov/2188311/ 연결]</ref>. 과거에는 소아 질환으로 사춘기 이후 진행이 멈춘다고 알려져 왔지만, 그러나 최근에는 성인에서도 진행한다는 보고가 있다<ref>Katz BJ et al. Ophthalmic manifestations of fibrous dysplasia : a disease of children and adults. ''Ophthalmology''. 1998 Dec;105(12):2207-15. [https://pubmed.ncbi.nlm.nih.gov/9855148/ 연결]</ref><ref>Bibby K et al. Fibrous dysplasia of the orbit. ''BJO''. 1994 Apr;78(4):266-70. [https://pubmed.ncbi.nlm.nih.gov/8199111/ 연결]</ref>. 남녀비는 대략 비슷하다. | ||
== 원인 == | == 원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