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물주머니 게실: 두 판 사이의 차이

28 바이트 추가됨 ,  2025년 7월 23일 (수)
잔글
잔글 (→‎진단)
잔글 (→‎진단)
14번째 줄: 14번째 줄:
가장 유용한 영상검사는 [[눈물주머니 조영술]] (dacryocystography, DCG) 이며 눈물주머니의 외측 벽과 코눈물관의 연결부에서 주로 상방으로 돌출된 소견을 보인다<ref name=r3 /><ref name=r6 /><ref name=r4 />. 그러나 DCG의 민감도는 59%에 불과하다.
가장 유용한 영상검사는 [[눈물주머니 조영술]] (dacryocystography, DCG) 이며 눈물주머니의 외측 벽과 코눈물관의 연결부에서 주로 상방으로 돌출된 소견을 보인다<ref name=r3 /><ref name=r6 /><ref name=r4 />. 그러나 DCG의 민감도는 59%에 불과하다.


CT, MRI, 초음파 검사의 진단적 가치는 눈물주머니 조영술보다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 CT나 MRI에서는 방사선 투과성이고 피막에 싸인 덩이로 보일 수도 있다.4
CT, MRI, 초음파 검사의 진단적 가치는 눈물주머니 조영술보다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 name=r4 />. CT나 MRI에서는 방사선 투과성이고 피막에 싸인 덩이로 보일 수도 있다<ref name=r6 />.


== 치료 ==
== 치료 ==
증상이 있는 눈물주머니 게실은 보존적 치료가 실패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눈물주머니-코안 연결술 (dacryocystorhinostomy, DCR) 혹은 게실 절제술과 같은 수술적 치료가 일반적으로 추천된다.4,6 눈물기관이 막혀 있는 경우 DCR을, 눈물기관이 막혀 있지 않은 경우에는 게실 절제술을 시행하고, 게실이 큰 경우에는 드물게 두 수술 모두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4,6
증상이 있는 눈물주머니 게실은 보존적 치료가 실패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눈물주머니-코안 연결술 (dacryocystorhinostomy, DCR) 혹은 게실 절제술과 같은 수술적 치료가 일반적으로 추천된다.4,6 눈물기관이 막혀 있는 경우 DCR을, 눈물기관이 막혀 있지 않은 경우에는 게실 절제술을 시행하고, 게실이 큰 경우에는 드물게 두 수술 모두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4,6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