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부작용)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3년에서 10년 이상까지 장기적인 사용을 해야하는 약이지만<ref>Diab DL et al. Bisphosphonate drug holiday : who, when and how long. ''Ther Adv Musculoskelet Dis''. 2013 Jun;5(3):107-11. [https://pubmed.ncbi.nlm.nih.gov/23858334/ 연결]</ref>, 6개월간 지속적인 약 복용 비율은 34.8~71.3% 밖에 되지 않았으며, 그 원인으로 부작용에 의한 것이 큰 비율로 차지한다<ref>Fatoye F et al. Real-world persistence and adherence w oral bisphosphonates for osteoporosis : a systematic review. ''BMJ Open''. 2019 Apr 14;9(4):e027049. [https://pubmed.ncbi.nlm.nih.gov/30987990/ 연결]</ref>. | 3년에서 10년 이상까지 장기적인 사용을 해야하는 약이지만<ref>Diab DL et al. Bisphosphonate drug holiday : who, when and how long. ''Ther Adv Musculoskelet Dis''. 2013 Jun;5(3):107-11. [https://pubmed.ncbi.nlm.nih.gov/23858334/ 연결]</ref>, 6개월간 지속적인 약 복용 비율은 34.8~71.3% 밖에 되지 않았으며, 그 원인으로 부작용에 의한 것이 큰 비율로 차지한다<ref>Fatoye F et al. Real-world persistence and adherence w oral bisphosphonates for osteoporosis : a systematic review. ''BMJ Open''. 2019 Apr 14;9(4):e027049. [https://pubmed.ncbi.nlm.nih.gov/30987990/ 연결]</ref>. | ||
== 부작용 == | == 부작용 == | ||
=== 단기 === | |||
* 근육통 | |||
* 저칼슘혈증 | |||
* 위장관 장애 | |||
* 안구 염증 : 경구 또는 주사제의 비스포스포네이트 사용은 IL-6, TNF-α의 생성을 증가시키는 일시적인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활성화하여 안구 염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6, 해외에서는 안구 염증과 관련하여 비스포스포네이트를 경구 또는 주사제로 사용 후 결막염, 공막염, 포도막염의 안구 염증이 발생할 수 있다는 사례가 보고된 바 있다.7,8 | |||
=== 장기 === | |||
* 비정형 대퇴부 골절 : 골재건의 과억제로 인함 | |||
* 악골 괴사 | |||
* 심방 세동 | |||
* 식도암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