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새 문서: 뮐러근 (Muller's muscle) 은 "눈꺼풀판으로부터 위로 15mm 떨어진 곳의 위눈꺼풀 올림근 밑에서 기시하여 올림근과 결막 사이를 지나 위눈꺼...)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뮐러근 (Muller's muscle) 은 "눈꺼풀판으로부터 위로 15mm 떨어진 곳의 [[ | 뮐러근 (Muller's muscle) 은 "눈꺼풀판으로부터 위로 15mm 떨어진 곳의 [[윗눈꺼풀 올림근]] 밑에서 기시하여 올림근과 결막 사이를 지나 위눈꺼풀판의 위 경계에 부착되는 평활 근육이다. <span style='color:blue;'>위눈꺼풀 올림근과는 느슨하게 유착되어 잘 분리되지만 결막과는 단단하게 유착</span>되어 있다. | ||
== 기능 == | == 기능 == | ||
교감 신경의 지배를 받으며 위눈꺼풀을 약 2mm 정도 올려준다. 따라서 교감 신경의 지배 이상인 [[호르너 증후군]]에서 경도의 눈꺼풀 처짐이 발생한다. 갑상샘 눈병증에서는 뮐러근에 염증과 반흔, 수축이 일어나 [[눈꺼풀 뒤당김]]이 발생한다. 교정을 위해서는 위눈꺼풀 올림근의 후전과 뮐러근의 제거가 필요하다. | 교감 신경의 지배를 받으며 위눈꺼풀을 약 2mm 정도 올려준다. 따라서 교감 신경의 지배 이상인 [[호르너 증후군]]에서 경도의 눈꺼풀 처짐이 발생한다. 갑상샘 눈병증에서는 뮐러근에 염증과 반흔, 수축이 일어나 [[눈꺼풀 뒤당김]]이 발생한다. 교정을 위해서는 위눈꺼풀 올림근의 후전과 뮐러근의 제거가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