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바미피드: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98 바이트 추가됨 ,  2025년 7월 23일 (수)
잔글
잔글 (→‎효과)
잔글 (→‎효과)
 
9번째 줄: 9번째 줄:
위장관에 작용해 위장관 뮤신 수치를 올리는 역할을 한다. 뮤신은 위점막에서 분비돼 점막 표면을 보호해주는 점액성 물질이다. 뮤신 수치가 올라가면 위장관을 보호하고 소화력을 높여준다. 또 위점막뿐만 아니라 입안, 장점막 등 각종 점막에도 분비가 가능해 점막 표면의 보호 작용을 한다.
위장관에 작용해 위장관 뮤신 수치를 올리는 역할을 한다. 뮤신은 위점막에서 분비돼 점막 표면을 보호해주는 점액성 물질이다. 뮤신 수치가 올라가면 위장관을 보호하고 소화력을 높여준다. 또 위점막뿐만 아니라 입안, 장점막 등 각종 점막에도 분비가 가능해 점막 표면의 보호 작용을 한다.


프로스타글란딘 E<sub>2</sub>와 I<sub>2</sub> 합성을 증가하여 각막의 상피세포와 결막의 술잔세포 및 상피세포에서 뮤신 분비를 촉진한다. 지속적인 뮤신 분비로 안구 윤활 및 눈물 증발을 억제하며, 안구 표면 마찰을 줄이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ref>Kinoshita S et al; Rebamipide Ophthalmic Suspension P2 Study Group. Rebamipide (OPC-12759) in the treatment of dry eye : a randomized, double-masked, multicenter, placebo-controlled P2 study. ''Ophthalmology''. 2012 Dec;119(12):2471-8. [https://pubmed.ncbi.nlm.nih.gov/23009892/ 연결]</ref>. 또한 레바미피드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 및 중성구의 활성화를 억제하여 항염증 효과와 항산화 효과를 가진다<ref>Yamane M et al. Long-term rebamipide and diquafosol in 2 cases of immune-mediated dry eye. ''Optom Vis Sci''. 2015 Apr;92(4 Suppl 1):S25-32. [https://pubmed.ncbi.nlm.nih.gov/25785527/ 연결]</ref>.
프로스타글란딘 E<sub>2</sub>와 I<sub>2</sub> 합성을 증가하여 각막의 상피세포와 결막의 술잔세포 및 상피세포에서 뮤신 분비를 촉진한다. 지속적인 뮤신 분비로 안구 윤활 및 눈물 증발을 억제하며, 안구 표면 마찰을 줄이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ref>Kinoshita S et al; Rebamipide Ophthalmic Suspension P2 Study Group. Rebamipide (OPC-12759) in the treatment of dry eye : a randomized, double-masked, multicenter, placebo-controlled P2 study. ''Ophthalmology''. 2012 Dec;119(12):2471-8. [https://pubmed.ncbi.nlm.nih.gov/23009892/ 연결]</ref>. 또한 레바미피드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 및 중성구의 활성화를 억제하여 항염증 효과와 항산화 효과를 가진다<ref>Yamane M et al. Long-term rebamipide and diquafosol in 2 cases of immune-mediated dry eye. ''Optom Vis Sci''. 2015 Apr;92(4 Suppl 1):S25-32. [https://pubmed.ncbi.nlm.nih.gov/25785527/ 연결]</ref><ref>Jin-Sil P et al. Immune modulation by rebamipide in a mouse model of SS via T and B cell regulation. ''Immunol Lett''. 2019 Oct;214:1-7. [https://pubmed.ncbi.nlm.nih.gov/31421154/ 연결]</ref>.


== 종류 ==
== 종류 ==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