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릭텐 각결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33 바이트 추가됨 ,  2025년 7월 26일 (토)
잔글
잔글 (→‎치료)
잔글 (→‎치료)
27번째 줄: 27번째 줄:
== 치료 ==
== 치료 ==
단기적 치료의 목적은 환자의 염증 증상을 신속히 완화하는 것이다.
단기적 치료의 목적은 환자의 염증 증상을 신속히 완화하는 것이다.
* <span style='color:blue;'>1% prednisolone 점안약</span>, 1일 8회 : 염증 증세를 신속히 완화시키기 위함, 반응을 보며 횟수를 줄여나간다.
* 점안 스테로이드 : 스테로이드 안약을 4~6/d 시작하고 반응을 보며 1주째부터 횟수를 줄여나간다. (<span style='color:blue;'>1% prednisolone 점안약</span>, 1일 8회)
* 국소 [[사이클로스포린]]<ref>Oworu O et al. Successful treatment of PKC with topical CSA. ''Cont Lens Anterior Eye''. 2013 Oct;36(5):265-6. [https://pubmed.ncbi.nlm.nih.gov/23566750/ 연결]</ref><ref>Doan S et al. Topical CSA in severe steroid-dependent childhood PKC. ''AJO''. 2006 Jan;141(1):62-66. [https://pubmed.ncbi.nlm.nih.gov/16386977/ 연결]</ref> 또는 [[타크로리무스]]<ref>Yoon CH et al. Topical Tacrolimus 0.03% for Maintenance Therapy in Steroid-Dependent, Recurrent PKC. ''Cornea''. 2018 Feb;37(2):168-171. [https://pubmed.ncbi.nlm.nih.gov/29309358/ 연결]</ref> : 스테로이드 의존성 질환의 경우 스테로이드 제제를 감량하거나 중지하기 위해 유지 요법으로 사용해볼 수 있다.
* 국소 [[사이클로스포린]]<ref>Oworu O et al. Successful treatment of PKC with topical CSA. ''Cont Lens Anterior Eye''. 2013 Oct;36(5):265-6. [https://pubmed.ncbi.nlm.nih.gov/23566750/ 연결]</ref><ref>Doan S et al. Topical CSA in severe steroid-dependent childhood PKC. ''AJO''. 2006 Jan;141(1):62-66. [https://pubmed.ncbi.nlm.nih.gov/16386977/ 연결]</ref> 또는 [[타크로리무스]]<ref>Yoon CH et al. Topical Tacrolimus 0.03% for Maintenance Therapy in Steroid-Dependent, Recurrent PKC. ''Cornea''. 2018 Feb;37(2):168-171. [https://pubmed.ncbi.nlm.nih.gov/29309358/ 연결]</ref> : 스테로이드 의존성 질환의 경우 스테로이드 제제를 감량하거나 중지하기 위해 유지 요법으로 사용해볼 수 있다.
* 항생제 안약 : 플루형광 염색이 되는 궤양 부위가 존재하는 경우에 2차 세균 감염을 예방하기 위하여 병용한다.
* 항생제 안약 : 플루형광 염색이 되는 궤양 부위가 존재하는 경우에 2차 세균 감염을 예방하기 위하여 병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