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 (→임상 소견) |
잔글 (→증상)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포도구균의 항원에 1차 민감화가 일어나고 이후 이 균의 외독소에 의해 각결막 상피세포 방어벽이 손상되면 항언이 이를 통과하여 체내에서 우리 몸의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것이 주 원인이다. 면역 세포가 매개하는 4형 면역반응으로, 조직생검에서 보면 단핵구에서 기원한 대식세포나 가지모양 랑게르한스세포 등이 주로 많이 존재하고, T세포가 적게 보인다. 박테리아균은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병리 소견은 전형적인 지연 과민반응인 피부 tuberculin 반응에서 보이는 소견과 매우 유사하다. | 포도구균의 항원에 1차 민감화가 일어나고 이후 이 균의 외독소에 의해 각결막 상피세포 방어벽이 손상되면 항언이 이를 통과하여 체내에서 우리 몸의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것이 주 원인이다. 면역 세포가 매개하는 4형 면역반응으로, 조직생검에서 보면 단핵구에서 기원한 대식세포나 가지모양 랑게르한스세포 등이 주로 많이 존재하고, T세포가 적게 보인다. 박테리아균은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병리 소견은 전형적인 지연 과민반응인 피부 tuberculin 반응에서 보이는 소견과 매우 유사하다. | ||
== 증상 == | == 증상 == | ||
== 임상 소견 == | == 임상 소견 == | ||
=== 결막 플릭텐 === | === 결막 플릭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