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 (→병태 생리) |
잔글 (→병인)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PKC는 특정 항원에 내한 과민반응에 의해 일어난다. 따라서 균의 항원에 대해 각막 또는 결막의 일차 감작이 일어난 이후 해당 항원에 대해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것이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결핵에 의한 PKC는 결핵의 폐 감염에 의해 면역세포가 감작된 이후 결핵 항원이 혈액을 통하거나 (내인성) 외부롱 통해 (외인성) 각결막에 노출될 경우 발생한다,결핵을 앓고 있는 모든 사람에서 PKC가 발생하는 것은 아니며 가족 등 주변 사람들이 결핵을 앓고 있는 경우, 즉 결핵이 만연한 환경에서 호발하는 것으로 보고된 점은 외부를 통한 외인성 결핵 항원의 노출이 결핵에 의한 PKC의 중요한 원인임을 시사한다<ref>Biswas J et al. Ocular morbidity in patients w active systemic tuberculosis. ''Int Ophthalmol''. 1995-1996;19(5):293-8. [https://pubmed.ncbi.nlm.nih.gov/8864813/ 연결]</ref><ref>Thygeson P. The etiology and treatment of PKC. ''AJO''. 1951 Sep;34(9):1217-36. [https://pubmed.ncbi.nlm.nih.gov/14877944/ 연결]</ref><ref>Philip RN et al. PKC among Eskimos in SW Alaska. I.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Am Rev Respir Dis''. 1965 Feb;91:171-87. [https://pubmed.ncbi.nlm.nih.gov/14253167/ 연결]</ref>. 포도알균에 의한 PKC는 포도알균이 피부나 점막의 정상 상재균이기 때문에 다양한 경로로 감작이 가능하다. 이후 눈꺼풀 등에 있는 포도알균의 항원이 균의 외독소 등에 의해 손상된 각결막 상피세포 방어벽을 통과해 지연성 면역반응을 유발해 PKC가 발생하게 된다<ref>Smolin G et al. Staphylococcal blepharitis. ''Arch Ophthalmol''. 1977 May;95(5):812-6. [https://pubmed.ncbi.nlm.nih.gov/324453/ 연결]</ref>. | PKC는 특정 항원에 내한 과민반응에 의해 일어난다. 따라서 균의 항원에 대해 각막 또는 결막의 일차 감작이 일어난 이후 해당 항원에 대해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것이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결핵에 의한 PKC는 결핵의 폐 감염에 의해 면역세포가 감작된 이후 결핵 항원이 혈액을 통하거나 (내인성) 외부롱 통해 (외인성) 각결막에 노출될 경우 발생한다,결핵을 앓고 있는 모든 사람에서 PKC가 발생하는 것은 아니며 가족 등 주변 사람들이 결핵을 앓고 있는 경우, 즉 결핵이 만연한 환경에서 호발하는 것으로 보고된 점은 외부를 통한 외인성 결핵 항원의 노출이 결핵에 의한 PKC의 중요한 원인임을 시사한다<ref>Biswas J et al. Ocular morbidity in patients w active systemic tuberculosis. ''Int Ophthalmol''. 1995-1996;19(5):293-8. [https://pubmed.ncbi.nlm.nih.gov/8864813/ 연결]</ref><ref>Thygeson P. The etiology and treatment of PKC. ''AJO''. 1951 Sep;34(9):1217-36. [https://pubmed.ncbi.nlm.nih.gov/14877944/ 연결]</ref><ref>Philip RN et al. PKC among Eskimos in SW Alaska. I.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Am Rev Respir Dis''. 1965 Feb;91:171-87. [https://pubmed.ncbi.nlm.nih.gov/14253167/ 연결]</ref>. 포도알균에 의한 PKC는 포도알균이 피부나 점막의 정상 상재균이기 때문에 다양한 경로로 감작이 가능하다. 이후 눈꺼풀 등에 있는 포도알균의 항원이 균의 외독소 등에 의해 손상된 각결막 상피세포 방어벽을 통과해 지연성 면역반응을 유발해 PKC가 발생하게 된다<ref>Smolin G et al. Staphylococcal blepharitis. ''Arch Ophthalmol''. 1977 May;95(5):812-6. [https://pubmed.ncbi.nlm.nih.gov/324453/ 연결]</ref>. | ||
면역학적으로 PKC는 균의 항원에 대한 4형 지연성 세포매개 면역반응이다. 플릭텐 생검에서는 단핵구에서 기원한 대식세포나 가지 모양 랑게르한스세포 등이 주로 존재하며 T세포도 관찰되나 미생물은 관찰되지 않았다<ref>abu el-Asrar AM et al. Phenotypic characterization of inflammatory cells in phlyctenular eye disease. ''Doc Ophthalmol''. 1988 Dec;70(4):353-62. [https://pubmed.ncbi.nlm.nih.gov/3075177/ 연결]</ref>. 이러한 병리 소견은 전형적인 지연형 과민반응인 피부 투베르쿨린 반응에서 보이는 소견과 아주 유사하다. 염증 침윤 부위의 생검에시는 이상 (aberrant) 사람 백혈구 항원 (HLA-DR4) 발현이 플릭텐의 기저 상피에 존재했으며 투베르쿨린 반응의 각질세포에서도 유사한 이상 항원 발현이 관찰된 바 있다. | 면역학적으로 PKC는 균의 항원에 대한 4형 지연성 세포매개 면역반응이다. 플릭텐 생검에서는 단핵구에서 기원한 대식세포나 가지 모양 랑게르한스세포 등이 주로 존재하며 T세포도 관찰되나 미생물은 관찰되지 않았다<ref name=19>abu el-Asrar AM et al. Phenotypic characterization of inflammatory cells in phlyctenular eye disease. ''Doc Ophthalmol''. 1988 Dec;70(4):353-62. [https://pubmed.ncbi.nlm.nih.gov/3075177/ 연결]</ref>. 이러한 병리 소견은 전형적인 지연형 과민반응인 피부 투베르쿨린 반응에서 보이는 소견과 아주 유사하다. 염증 침윤 부위의 생검에시는 이상 (aberrant) 사람 백혈구 항원 (HLA-DR4) 발현이 플릭텐의 기저 상피에 존재했으며 투베르쿨린 반응의 각질세포에서도 유사한 이상 항원 발현이 관찰된 바 있다<ref name=19 />. | ||
== 임상 소견 == | == 임상 소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