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발 두개내 고혈압: 두 판 사이의 차이

500 바이트 추가됨 ,  2025년 8월 1일 (금)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 (→‎진단)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특발성 두개내 고혈압 (idiopathic intracranial hypertension; IIH)'''{{신경안과}} 은 가성 뇌종양 (pseudotumor cerebri) 이라고도 하며, 250 mmH<sub>2</sub>O 이상의 두개내압 상승이 있으나 임상적, 실험실적 또는 영상 검사 등에서 수두증, 종양, 구조적 또는 혈관 이상과 같은 원인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ref>Ko MW et al. Pediatric IICH (pseudotumor cerebri). ''Horm Res Paediatr''. 2010;74(6):381-9. [https://pubmed.ncbi.nlm.nih.gov/20962512/ 연결]</ref><ref>Wakerley BR et al. Idiopathic intracranial hypertension. ''Cephalalgia''. 2015 Mar;35(3):248-61. [https://pubmed.ncbi.nlm.nih.gov/24847166/ 연결]</ref><ref>Wall M. Update on IIH. ''Neurol Clin''. 2017 Feb;35(1):45-57. [https://pubmed.ncbi.nlm.nih.gov/27886895/ 연결]</ref>.
'''특발성 두개내 고혈압 (idiopathic intracranial hypertension; IIH)'''{{신경안과}} 은 250 mmH<sub>2</sub>O 이상의 두개내압 상승이 있으나 임상적, 실험실적 또는 영상 검사 등에서 수두증, 종양, 구조적 또는 혈관 이상과 같은 원인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ref>Ko MW et al. Pediatric IICH (pseudotumor cerebri). ''Horm Res Paediatr''. 2010;74(6):381-9. [https://pubmed.ncbi.nlm.nih.gov/20962512/ 연결]</ref><ref>Wakerley BR et al. Idiopathic intracranial hypertension. ''Cephalalgia''. 2015 Mar;35(3):248-61. [https://pubmed.ncbi.nlm.nih.gov/24847166/ 연결]</ref><ref>Wall M. Update on IIH. ''Neurol Clin''. 2017 Feb;35(1):45-57. [https://pubmed.ncbi.nlm.nih.gov/27886895/ 연결]</ref>. 뇌척수액과 뇌영상 검사가 정상이라는 점에서 가성 뇌종양 (pseudotumor cerebri) 또는 양성 두개내 고혈압 (benign intracranial hypertension, BIH) 으로 불리기도 하였다<ref>Markey KA et al. Understanding IIH : mechanisms, management, and future directions. ''Lancet Neurol''. 2016 Jan;15(1):78-91. [https://pubmed.ncbi.nlm.nih.gov/26700907/ 연결]</ref><ref>Wang MTM et al. IIH : Pathophysiology, diagnosis and management. ''J Clin Neurosci''. 2022 Jan;95:172-179. [https://pubmed.ncbi.nlm.nih.gov/34929642/ 연결]</ref>.


== 역학 ==
== 역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