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 (→기저 질환) |
잔글 (→소견) |
||
10번째 줄: | 10번째 줄: | ||
유병률은 연간 2.8~4.2/10만명 으로 남성과 여성에서 동등한 비율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Fan AH. Autoenucleation :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Psychiatry (Edgmont)''. 2007 Oct;4(10):60-2. [https://pubmed.ncbi.nlm.nih.gov/20428312/ 연결]</ref>. 자가 안구 적출의 수단으로 날카로운 물체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기도 하지만 손가락으로 시도를 하기도 한다<ref>Bar-Yaakov N et al. Unsuccessful self-enucleation in a schizophrenic patient. ''Case Rep Ophthalmol Med''. 2014;2014:237214. [https://pubmed.ncbi.nlm.nih.gov/25328735/ 연결]</ref>. | 유병률은 연간 2.8~4.2/10만명 으로 남성과 여성에서 동등한 비율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Fan AH. Autoenucleation :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Psychiatry (Edgmont)''. 2007 Oct;4(10):60-2. [https://pubmed.ncbi.nlm.nih.gov/20428312/ 연결]</ref>. 자가 안구 적출의 수단으로 날카로운 물체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기도 하지만 손가락으로 시도를 하기도 한다<ref>Bar-Yaakov N et al. Unsuccessful self-enucleation in a schizophrenic patient. ''Case Rep Ophthalmol Med''. 2014;2014:237214. [https://pubmed.ncbi.nlm.nih.gov/25328735/ 연결]</ref>. | ||
== 소견 == | == 소견 == | ||
손상 범위가 매우 다양하며, 손으로 안구 전방 전위만 일으킨 경우<ref>김시영 등, 조절되지 않은 조현병 환자에서 발생한 안구 전방 전위, ''한안지'' 2024;65(8):540-544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13948 연결]</ref>부터 도구를 사용하여 시신경과 외안근의 절단에까지 이르러 완전히 안구를 안와에서 분리한 | 손상 범위가 매우 다양하며, 손으로 안구 전방 전위만 일으킨 경우<ref>김시영 등, 조절되지 않은 조현병 환자에서 발생한 안구 전방 전위, ''한안지'' 2024;65(8):540-544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13948 연결]</ref>부터 도구를 사용하여 시신경과 외안근의 절단에까지 이르러 완전히 안구를 안와에서 분리한 증례<ref name=r1 />도 보고되었다. | ||
도구를 이용하여 시도한 경우 안구 부속기 및 전안부 손상, 공막 열상으로 인한 안내염, 구후 출혈, 시신경 손상 등 다양한 임상 양상이 나타날 수 있다. | 도구를 이용하여 시도한 경우 안구 부속기 및 전안부 손상, 공막 열상으로 인한 안내염, 구후 출혈, 시신경 손상 등 다양한 임상 양상이 나타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