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내분비 암종: 두 판 사이의 차이

16 바이트 추가됨 ,  2025년 8월 2일 (토)
잔글
잔글 (→‎부위)
잔글 (→‎부위)
1번째 줄: 1번째 줄:
'''신경내분비 암종 (neuroendocrine carcinoma, NEC)''' 은 드문 형태의 악성 종양이다.  
'''신경내분비 암종 (neuroendocrine carcinoma, NEC)''' 은 드문 형태의 악성 종양이다.  
== 부위 ==
== 부위 ==
폐, 뇌, 위장관계, 췌장, 갑상선, 가슴샘, 난소, 자궁, 자궁경부, 비뇨생식기계, 임파선 그리고 피부 등 전신의 신경내분비계 세포에서 발생할 수 있다<ref>Renner G. SCC of the head and neck : a review. ''Semin Oncol''. 2007 Feb;34(1):3-14. [https://pubmed.ncbi.nlm.nih.gov/17270660/ 연결]</ref>.
폐, 뇌, 위장관계, 췌장, 갑상선, 가슴샘, 난소, 자궁, 자궁경부, 비뇨생식기계, 임파선 그리고 피부 등 전신의 신경내분비계 세포에서 발생할 수 있다<ref name=r1>Renner G. SCC of the head and neck : a review. ''Semin Oncol''. 2007 Feb;34(1):3-14. [https://pubmed.ncbi.nlm.nih.gov/17270660/ 연결]</ref>.


가장 흔한 원발 병소는 폐이며 폐 외에서 발생하는 경우는 약 2.5%로, 뇌, 위장관계, 췌장, 갑상선, 가슴샘, 난소, 자궁, 자궁 경부, 비뇨생식기계, 임파선 그리고 피부 등 전신에서 발생할 수 있다<ref>Kim KO et al. Clinical overview of extrapulmonary SCC. ''J Korean Med Sci''. 2006 Oct;21(5):833-7. [https://pubmed.ncbi.nlm.nih.gov/17043415/ 연결]</ref>.
가장 흔한 원발 병소는 폐이며 폐 외에서 발생하는 경우는 약 2.5%로, 뇌, 위장관계, 췌장, 갑상선, 가슴샘, 난소, 자궁, 자궁 경부, 비뇨생식기계, 임파선 그리고 피부 등 전신에서 발생할 수 있다<ref name=r2>Kim KO et al. Clinical overview of extrapulmonary SCC. ''J Korean Med Sci''. 2006 Oct;21(5):833-7. [https://pubmed.ncbi.nlm.nih.gov/17043415/ 연결]</ref>.
=== 안와 ===
=== 안와 ===
안와를 침범한 경우는 매우 드물게 발생하며, 보고된 증례로는 다른 장기에서 원발성 종양이 진단된 이후 안와로 종양이 전이된 경우<ref>백세현 등, 비전형적인 소견을 보인 안와로 원격 전이된 유방암 1예, ''한안지'' 2002;43(9):1801-1805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5615 연결]</ref> 및 안와를 침범한 상악동 및 부비동의 원발성 소세포 NEC가 보고된 바가 일부 있다<ref>하소영 등, 원격 전이를 동반한 상악동 소세포암 1예, ''대한 내과학회지'' 2015;88:719-723 [https://www.ekjm.org/journal/view.php?number=25092 연결]</ref><ref>Han G et al. Extrapulmonary small cell NEC of the paranasal sinuses : a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J Oral Maxillofac Surg''. 2012 Oct;70(10):2347-51. [https://pubmed.ncbi.nlm.nih.gov/22330330/ 연결]</ref><ref>Sirsath NT et al. Paranasal sinus NEC : a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Case Rep Oncol Med''. 2013;2013:728479. [https://pubmed.ncbi.nlm.nih.gov/23476846/ 연결]</ref>.
안와를 침범한 경우는 매우 드물게 발생하며, 보고된 증례로는 다른 장기에서 원발성 종양이 진단된 이후 안와로 종양이 전이된 경우<ref>백세현 등, 비전형적인 소견을 보인 안와로 원격 전이된 유방암 1예, ''한안지'' 2002;43(9):1801-1805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5615 연결]</ref> 및 안와를 침범한 상악동 및 부비동의 원발성 소세포 NEC가 보고된 바가 일부 있다<ref>하소영 등, 원격 전이를 동반한 상악동 소세포암 1예, ''대한 내과학회지'' 2015;88:719-723 [https://www.ekjm.org/journal/view.php?number=25092 연결]</ref><ref>Han G et al. Extrapulmonary small cell NEC of the paranasal sinuses : a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J Oral Maxillofac Surg''. 2012 Oct;70(10):2347-51. [https://pubmed.ncbi.nlm.nih.gov/22330330/ 연결]</ref><ref>Sirsath NT et al. Paranasal sinus NEC : a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Case Rep Oncol Med''. 2013;2013:728479. [https://pubmed.ncbi.nlm.nih.gov/23476846/ 연결]</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