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임상 소견)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주로 분비선의 통로가 막혀 액체가 축적되면서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분비물이 정상적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선 내부에 머무르게 되어 낭종을 형성하는 원인이 된다<ref>김정열 등, 안외상 후 내안각에 발생한 아포크린 땀낭종 1예, ''한안지'' 2007;48(11):1562-1566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6926 연결]</ref>. | 주로 분비선의 통로가 막혀 액체가 축적되면서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분비물이 정상적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선 내부에 머무르게 되어 낭종을 형성하는 원인이 된다<ref>김정열 등, 안외상 후 내안각에 발생한 아포크린 땀낭종 1예, ''한안지'' 2007;48(11):1562-1566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6926 연결]</ref>. | ||
== 임상 소견 == | == 임상 소견 == | ||
특히 겨드랑이, 사타구니, 가슴과 같은 신체 부위에서 주로 발생하며 통증이 없는 낭종 형태이다<ref>Charles NC et al. Epibulbar Subconjunctival Apocrine Hidrocystoma. ''Ophthalmic Plast Reconstr Surg''. 2021 Nov-Dec 01;37(6):e208-e209. [https://pubmed.ncbi.nlm.nih.gov/34284427/ 연결]</ref>. | 특히 겨드랑이, 사타구니, 가슴과 같은 신체 부위에서 주로 발생하며 통증이 없는 낭종 형태이다<ref>Charles NC et al. Epibulbar Subconjunctival Apocrine Hidrocystoma. ''Ophthalmic Plast Reconstr Surg''. 2021 Nov-Dec 01;37(6):e208-e209. [https://pubmed.ncbi.nlm.nih.gov/34284427/ 연결]</ref>. 드물게 안구의 결막과 같은 비정상적인 부위에 발생하는 경우가 보고되어 왔다<ref>Kim B et al. Apocrine hidrocystoma of the conjunctiva. ''Int J Ophthalmol''. 2012;5(2):247-8. [https://pubmed.ncbi.nlm.nih.gov/22762060/ 연결]</ref>. | ||
== 수술적 치료 == | == 수술적 치료 == | ||
절제 혹은 주머니 성형술로 치료한다. | 절제 혹은 주머니 성형술로 치료한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