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 (→감별 진단) |
잔글 (→임상 소견) |
||
8번째 줄: | 8번째 줄: | ||
임상적으로 작고 다발성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나, 때때로 단발성으로도 나타나며, 이는 아포크린 샘암종과 구별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 임상적으로 작고 다발성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나, 때때로 단발성으로도 나타나며, 이는 아포크린 샘암종과 구별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 ||
== 조직학 == | |||
낭의 공동으로 자라 들어가는 유두상 돌기와 아포크린 세포에서 기인하는 분비물인 'decapitation secretion' 의 특징적인 소견을 보인다. | |||
== 감별 진단 == | == 감별 진단 == | ||
* 아포크린 샘암종 : 아포크린 땀샘 낭종과 달리 주로 50세 이상의 노년층에서 진단되며, 이 종양은 유동성이 없고 단단한 특성을 가진 종괴로 나타난다. 그러나 임상적으로 샘암종과 낭종을 구별하기 어렵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을 위해 조직학적 분석이 필수적이다<ref>Koç İ et al. Periocular apocrine adenocarcinoma presenting as an orbital mass :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and management in 4 patients. ''Eur J Ophthalmol''. 2022 May;32(3):1804-1809. [https://pubmed.ncbi.nlm.nih.gov/34187188/ 연결]</ref>. | * 아포크린 샘암종 : 아포크린 땀샘 낭종과 달리 주로 50세 이상의 노년층에서 진단되며, 이 종양은 유동성이 없고 단단한 특성을 가진 종괴로 나타난다. 그러나 임상적으로 샘암종과 낭종을 구별하기 어렵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을 위해 조직학적 분석이 필수적이다<ref>Koç İ et al. Periocular apocrine adenocarcinoma presenting as an orbital mass :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and management in 4 patients. ''Eur J Ophthalmol''. 2022 May;32(3):1804-1809. [https://pubmed.ncbi.nlm.nih.gov/34187188/ 연결]</re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