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 (→치료) |
잔글 (→physostigmine) |
||
19번째 줄: | 19번째 줄: | ||
=== physostigmine === | === physostigmine === | ||
특히 가장 추전되는데, 초기 0.5~1 mg (소아에서는 0.01~0.02 mg/kg) 을 정맥 주사한다.3 항콜린성 증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해서는 3~5 ng/mL 정도의 혈중 농도가 필요하다고 알려져 있으며,11 일반적으로 physostigmine은 혈중으로 빠르게 확산되어 발현시간이 빠르지만 (최고 농도 도달 시간 2.3분), | 특히 가장 추전되는데, 초기 0.5~1 mg (소아에서는 0.01~0.02 mg/kg) 을 정맥 주사한다.3 항콜린성 증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해서는 3~5 ng/mL 정도의 혈중 농도가 필요하다고 알려져 있으며,11 일반적으로 physostigmine은 혈중으로 빠르게 확산되어 발현시간이 빠르지만 (최고 농도 도달 시간 2.3분), | ||
혈중에서 빠르게 대사되기 때문에 (제거 반감기 22분), 항콜린성 증상이 다시 악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재투여가 필요할 수 있다.12 실제로, Soletchnik | 혈중에서 빠르게 대사되기 때문에 (제거 반감기 22분), 항콜린성 증상이 다시 악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재투여가 필요할 수 있다.12 실제로, Soletchnik 등<ref>Soletchnik M et al. CAS secondary to atropine eye drops : A case study. ''Br J Clin Pharmacol''. 2023 Feb;89(2):541-543. [https://pubmed.ncbi.nlm.nih.gov/35579108/ 연결]</ref>은 아트로핀 점안 후 발생한 CAS 환자에서 초기 physostigmine 정맥 주사 후 증상이 조절되다가 2시간 후 증상이 재발하여 1 mg 의 physostigmine을 1회 재투여하여 치료한 증례를 보고한 바 있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