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글 증후군: 두 판 사이의 차이

379 바이트 추가됨 ,  2025년 8월 29일 (금)
잔글
잔글 (→‎원인)
잔글 (→‎분류)
 
10번째 줄: 10번째 줄:
* 고전적 유형 : 제5, 7, 9, 10 뇌신경이 눌리면서 동측의 목의 통증, 연하 곤란, 연하통, 귀 통증, 두통, 이통, 이명 등이 나타날 수 있다.
* 고전적 유형 : 제5, 7, 9, 10 뇌신경이 눌리면서 동측의 목의 통증, 연하 곤란, 연하통, 귀 통증, 두통, 이통, 이명 등이 나타날 수 있다.
* 동맥 유형 :  내경동맥이나 외경동맥, 동맥주변 교감신경총이 눌리면서 일과성 허혈 발작이나 뇌졸중, 경동맥박리, 호너 증후군 등이 발생하며 신경계 증상을 일으키거나 어지러움, 실신 등이 유발될 수 있다<ref>Westbrook AM et al. Eagle's syndrome, elongated styloid process and new evidence for pre-manipulative precautions for potential cervical arterial dysfunction. ''Musculoskelet Sci Pract''. 2020 Dec;50:102219. [https://pubmed.ncbi.nlm.nih.gov/32891576/ 연결]</ref><ref>Chuang WC et al. Reversible left hemispheric ischemia secondary to carotid compression in Eagle syndrome : surgical and CT angiographic correlation. ''AJNR Am J Neuroradiol''. 2007 Jan;28(1):143-5. [https://pubmed.ncbi.nlm.nih.gov/17213444/ 연결]</ref>.
* 동맥 유형 :  내경동맥이나 외경동맥, 동맥주변 교감신경총이 눌리면서 일과성 허혈 발작이나 뇌졸중, 경동맥박리, 호너 증후군 등이 발생하며 신경계 증상을 일으키거나 어지러움, 실신 등이 유발될 수 있다<ref>Westbrook AM et al. Eagle's syndrome, elongated styloid process and new evidence for pre-manipulative precautions for potential cervical arterial dysfunction. ''Musculoskelet Sci Pract''. 2020 Dec;50:102219. [https://pubmed.ncbi.nlm.nih.gov/32891576/ 연결]</ref><ref>Chuang WC et al. Reversible left hemispheric ischemia secondary to carotid compression in Eagle syndrome : surgical and CT angiographic correlation. ''AJNR Am J Neuroradiol''. 2007 Jan;28(1):143-5. [https://pubmed.ncbi.nlm.nih.gov/17213444/ 연결]</ref>.
* 정맥 유형 : '경상돌기 경정맥 압박 증후군(SJVCS)' 이라고도 하며 내경정맥이 [[경상 돌기]]와 첫 번째 경추의 가로돌기 사이에서 압박되면서 정맥 유출 폐쇄와 두개내압 상승으로 인해 증상이 유발되는 경우를 말한다. 내경정맥을 압박하여 정맥 유출량이 감소하게 되며 흐름이 정체되면서 폐색이 발생하게 되면 정맥혈전을 유발하거나 혹은 혈전이 없는 상태에서 두개내압 상승을 유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두통, 박동성 이명, 목부위 통증, 시신경
* 정맥 유형 : '경상돌기 경정맥 압박 증후군(SJVCS)' 이라고도 하며 내경정맥이 [[경상 돌기]]와 첫 번째 경추의 가로돌기 사이에서 압박되면서 정맥 유출 폐쇄와 두개내압 상승으로 인해 증상이 유발되는 경우를 말한다. 내경정맥을 압박하여 정맥 유출량이 감소하게 되며 흐름이 정체되면서 폐색이 발생하게 되면 정맥혈전을 유발하거나 혹은 혈전이 없는 상태에서 두개내압 상승을 유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두통, 박동성 이명, 목부위 통증, 시신경 유두부종 등이 나타날 수 있다<ref>Ho S et al. Styloid/C1 transverse process juxtaposition as a cause of Eagle's syndrome. ''Head Neck''. 2015 Nov;37(11):E153-6. [https://pubmed.ncbi.nlm.nih.gov/25726731/ 연결]</ref><ref>Li M et al. IJV stenosis a/w elongated styloid process : 5 case reports and literature review. ''BMC Neurol''. 2019 Jun 4;19(1):112. [https://pubmed.ncbi.nlm.nih.gov/31164090/ 연결]</ref>.
유두부종 등이 나타날 수 있다.4,5


== 임상 소견 ==
== 임상 소견 ==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