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주 절제술/부작용: 두 판 사이의 차이

24 바이트 제거됨 ,  2025년 8월 30일 (토)
잔글
잔글 (→‎출혈)
9번째 줄: 9번째 줄:
매우 드물게 맥락막내 또는 맥락막 상강의 출혈 또는 죽출성 출혈이 수술 중에 나타날 수가 있다. 안압의  갑작스러운 감소로 인한 큰 맥락막혈관의 파열과 관련된다. 맥락막 내 또는 맥락막 상강의 출혈은 특히 저안압이 있는 무수정체안 그리고 고도근시안에서 수술 후 초기에 나타나기도 한다. 갑자기 심한 안통이 있는 것이 특징 이다.
매우 드물게 맥락막내 또는 맥락막 상강의 출혈 또는 죽출성 출혈이 수술 중에 나타날 수가 있다. 안압의  갑작스러운 감소로 인한 큰 맥락막혈관의 파열과 관련된다. 맥락막 내 또는 맥락막 상강의 출혈은 특히 저안압이 있는 무수정체안 그리고 고도근시안에서 수술 후 초기에 나타나기도 한다. 갑자기 심한 안통이 있는 것이 특징 이다.
=== 유리체 소실 ===
=== 유리체 소실 ===
전방 내로 시행한 절개가 너무 뒤쪽에 위치하여 섬모체를 관통하거나 주변 홍채 절제술 시 섬모체 소대를 절개하여 발생한다. 수정체 탈구 또는 무수정체안에서는 홍채 절제를 하는 동안 유리체면이 바로 홍채 뒤쪽에 놓여 있기 때문에 유리체 탈출 가능성이 있다. 그 외 고도근시와 반대측 눈에서 유리체탈출이  있었던 경우에도 가능성이 높다. 섬유주 절제술 시의 유리체 탈출은 나쁜 예후를 반영하므로,탈출된 유리체는 Weck-Ceㅣl
전방 내로 시행한 절개가 너무 뒤쪽에 위치하여 섬모체를 관통하거나 주변 홍채 절제술 시 섬모체 소대를 절개하여 발생한다. 수정체 탈구 또는 무수정체안에서는 홍채 절제를 하는 동안 유리체면이 바로 홍채 뒤쪽에 놓여 있기 때문에 유리체 탈출 가능성이 있다. 그 외 고도근시와 반대측 눈에서 유리체탈출이  있었던 경우에도 가능성이 높다. 섬유주 절제술 시의 유리체 탈출은 나쁜 예후를 반영하므로, 탈출된 유리체는 Weck-Cel 스폰지와 가위로 공막 절개공에서 완전히 제거하고, 홍채 절개 부위와 인접 부위에 있는 유리체는 유리체 절제기로 완벽하게  제거해야 한다. 섬유주 절제술을 시행한 소아의 소눈 (buphthalmic eye) 의  12%에서  유리체 소실이 있었다는 보고가 있다. 이는 수정체의 크기는 정상이나 전안부의 크기 증가로 인하여 수정체와 섬모체 사이의 섬모체 소대가 견인되어 있어 홍채 절제술 시 유리체가 파열되면서 유리체 탈출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스폰지와 가위로 공막절개공에서  완전히 제거하고,홍채절개부위와 인접 부위에 있는
유리체는 유리체절제기로 완벽하게  제거해야 한다. 섬유주절제술을 시행한 소아의
(buph仕lalmic eye)의  12%에서  유리체소실이 있었다는 보고가 있다. 이는 수정체의
크기는 정상이나 전안부의 크기 증가로 인하여 수정체와 섬모체 사이의   섬모체소대가
견인되어 있어 홍채절제술 유리체가 파열되면서 유리체탈출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
0£5
이다.
{{참고}}
{{참고}}